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1974)
북지장사 솔숲길과 팔공산 인봉 ※ 이곳~저곳 둘러 보다가 결국은 팔공산 언저리, 북지장사와 인봉이다. 그동안 은 수차례 방문한 곳이며 주변 조망은 👍 ※ 도장교~시인의 길/돌문화공원~방짜유기박물관~도장마을~솔숲길~지장교~안양교~북지장사~인봉~인봉능선~도장골터널~방짜유기박물관~도장교(도상거리 약 5.6km)김춘추, 윤동주, 천상병 등 한국의 대표적 시인들 육필시 수십 편을 돌에 새겨 전시해 둔 '시인의 길'이라는 한국현대시 육필공원을 조성되어 있다돌문화 공원은 1997년 함양군에서 농수용댐 건설현장에서 나온 트럭 600대의 분량을 5개월에 걸쳐서 이곳으로 가져와 약 3천200여 종의 돌을 전시 중이라고 한다.방짜유기는 놋그릇을 말한다. 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인 유기장 이봉주 옹이 평생 제작하고 수집한 방짜유기 275종 1,489점을 대..
파계사 산내암자길(파계사~대비암~성전암)과 해일봉 ※ 막바지 단풍구경과 절간에도 방문할 겸 해서 파계사~대비암~성전암~해일능선으로 한바뀌 돌아본 길이다※ 팔공산 파계사지구 주차장~일주문~파계사 옛길~파계사~대비암~성전암~해일봉~연화대?~(옛) 파계사 야영장~팔공산 파계사지구 주차장(도상거리 5.4km)※ 해일봉~도각봉 산행(2010.08.21) : https://kim22300.tistory.com/m/364 아들과 팔공산 언저리 해일봉,도각봉,파계봉(장꼬방봉) 산행* 서부능선헬기장(830m)의 푸른초원과 파계봉(장꼬방봉)의 전경 1. 산 행 지 :팔공산해일봉-도각봉-파계봉(장꼬방봉) / 대구광역시,경북 군의군,칠곡군2. 산행일자 : 2010년 08월 21일(토) / 맑음,박무3.kim22300.tistory.com파계사지구 주변은 벌써 만추 분위기, ..
달성군/달서구 걷기 좋은 길, 사문진~달성습지~대명유수지~화원동산 ※ 달성군과 달서구에 인접한 사문진나루터~낙동강 생태탐방로~달성습지~대명유수지~화원동산으로 한 바퀴 돌아봅니다※ 이동경로는 사문진나루터~낙동강 생태탐방로~달성습지생태학습관~달성습지~대명유수지~낙동강 생태탐방로~화원양수장~화원동산~사문진나루터(도상거리 약 5.5km ① 사문진나루터~낙동강 생태탐방로사문진 나루터는 옛날 보부상들이 부산에서 낙동강을 거슬러 대구로 오는 뱃길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사문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화원읍 본리리(인흥마을)에 있었던 인흥사(仁興寺)라는 큰절로 가는 관문이기 때문에 절사(寺)를 써 사문진(寺門津)으로 불렀다.’는 설과 ‘강가의 모래가 있어서 사(沙) 자를 쓰고 포구를 통해서 배가 소금 등을 싣고 들어오고, 이 지역의 물건이 다른 지방으로 가는 문이라 해서 사문진(沙門津)으로..
칠곡숲체원 다누리길 ※ 4년전 인근 유학지와 함께 방문한 칠곡숲체원이다. 집으로 가는길에 잠시 ~~~~※ 주차장~성곡지~다누리길(무장애길)~숲속의집~토리유아숲~다누리길A~성곡지~주차장(1.5km)경북 칠곡군 석적읍 유학산(839m) 자락에 위치한 국립칠곡숲체원은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국가 산림교육센터이다. 저수지를 따라 조성되어 있는 다누리 길은 교통약자를 배려하여 누구나 숲을 만끽할 수 있는 무장애 데크로드이며 다누리길을 포함한 산책로는 2시간 정도 걸을 수 있다. 유아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대상에 맞춘 산림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아이와 함께 온 가족들은 토리 유아숲체험원에서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 VR 체험관, 토리 키즈카페, 북 카페, 숙박시설 등 각종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집으로 돌..
구미 산동 참 생태숲 힐링산책로 ※ 산동 참 생태숲 주변 둘레산길인 문수산~경운산은 11년 전에 둘러본 산행길 이어서 오늘은 간단하게 산책로와 임도를 걷는 여행길이다※ 에코랜드 입구~물빛정원~모노레일 승차장~거북바위~형통바위~어우총 갈림길~전망대 정거장~임도주차장(경운산 갈림길)~임도~임부암 갈림길~경운대~물빛정원(도상거리 약 6.0km) ※ 구미 경운산(2013.01.26) : https://kim22300.tistory.com/m/997 구미 경운산1. 산 행 지 : 경운산(341m) / 경북 구미시 2. 산행일자 : 2013년 01월 26일(토) / 맑음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의우총-인덕정-모험시설-250봉-임도-334봉-문수봉-생활관 갈림길-경운대학교(kim22300.tistory.com구미 에코랜드..
고령 개실마을과 화개산 ※ 개실마을 민속놀이마당~점필재 종택~모졸재~정경부인묘~십자봉~화개산 전망대~도적굴~배꼽마당/개실쉼터~개실마을(산행안내도 기준 2.9km)조선중엽 영남사림학파의 종조인 점필재 김종직(1431~1492) 선생의 후손들의 집성촌으로 350여 년간 전통을 이어오고 있으며, 점필재종택(민속자료), 도연재(문화재자료), 유점 필재의 유품(유형문화재) 등의 문화재가 있는 마을이다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로 문장과 경술(經術)에 뛰어나 영남학파의 종조(宗祖)가 되었으며, 무오사화의 원인이 된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지은 김종직의 종택이다. 김종직과 그의 부인 하산조 씨(夏山曺氏)와 남평문 씨(南平文氏) 세 분이 보향 되어 있으며 선산김 씨 문충공파에서 관리하고 있다고 한다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로 문장과 경술(經術)에 뛰어나 ..
동화사 산내암자길(동화사~부도암~내원암~양진암~염불암~동화사) ※ 작년에는 은해사 산내암자(은해사~중앙암~묘봉~묘봉암), 올해는 동화사 산내암자(동화사~부도암~내원암~양진암~부도암 능선~염불암~동화사) 단풍산행길이다. 4년 전 코로나 초창기 때 걸어본 길의 역순이다※동화사~부도암~내원암~양진암~부도암 능선~염불암~상상골~동화사로 돌아오는 코스이다봉서루는 '봉황이 깃든 누각'이란 뜻으로 동화사를 대표하는 누각이다. 현재는 주로 제사나 재를 지내는 장소로 사용되며 네모난 돌기둥을 세워 누문을 만들고, 그 위에 정면 5칸의 목조 누각을 세운 독특한 건축양식이다대웅전 내부 불단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좌측에 아미타불, 우측에 약사여래불을 모셨다. 또 천장에는 세 마리의 용과 여섯 마리의 봉황이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부도암은 1658년(효종 9) 도오(道悟)가 창건하..
함양 필봉산 가족숲 길/최치원 산책로 1. 산 행 지 : 필봉산 가족숲 길 / 경남 함양군2. 산행일자 : 2024년10월 27일(일) / 흐림, 비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4. 산행경로 : 함양여중 후문-함양배수지-필봉산-한남군묘-두산저수지 갈림길-산불감시초소-둘탑봉-대병저수지-메골-물레방아-상림공원 (이정표 기준 6.0km)5. 산행시간 : 2시간 00분(13:00~15:00)6. 산행안내도7. 산 행 기상림공원 방문은 수차례, 필봉산~백암산을 경유한 산행은 10년전 한차례, 오늘은 필봉산 가족숲 길(최치원 산책로)을 걷는 여행길이다한남군은 세종의 12남으로 혜빈양씨(惠嬪楊氏)의 소생이다. 1429년(세종 11)에 출생하였으며, 1455년(세조 원년) 윤6월 모란(謨亂) 혐의로 처음에는 금산에 유배되었다. 그 뒤 아산을 거쳐, 함양..
거창 우두산 견암폭포와 Y자형 출렁다리 ※ 우두산은 수차례 다녀간 산이라 산행은 자제하고 순수 출렁다리 주변을 둘러 보기로 ~~~ 비계산~마장재~우두산~의상봉과 고견사~의상봉~지남산~장군봉 ~바리봉 산행등 수차례 인연이 있는 우두산이다※ 주차장~자생식물원~견암폭포를~Y자형출렁다리~항노화 힐링랜드~주차장(2.9km) ※ 거창 우두산과 Y자형 출렁다리(2020.11.07) : https://kim22300.tistory.com/m/1739 거창 우두산과 Y자형 출렁다리1. 산 행 지 : 의상봉(1,038m)과 우두산(1,046m) / 경남 거창군 2. 산행일자 : 2020년 11월 07일(토) / 맑음 3. 산 행 자 : 홀로 4. 산행경로 : 고견사 주차장-견암폭포-고견사-의상봉-우두산-암릉지대-937봉-마kim22300.tistory.com※..
비운의 역사를 품고 있는 합천과 고령의 경계, 미숭산 ※ 10여 년 전 두 차례 산행 기록이 있는 근교 미숭산 입니다. 반룡사와 주산을 들머리로 각각 한 번씩 산행한 기록이 있으며 오늘은 최단 코스인 미숭산 교직원 휴양원에서 시작하는 길이다※ 미숭산 교직원 휴양원~귀원리 갈림길(고령)~미숭산성~미숭산>>교직원 휴양원(안내도 기준 3.2km)※ 반룡사~미숭산(2009.04.26) : https://kim22300.tistory.com/732 고령 미숭산(美崇山)산행* 까닥바위가 있는 고령 미숭산(美崇山) 정상에서.... 1. 산행 지 : 미숭산(757m) / 경북 고령군, 경남 합천군2. 산행일자 : 2009년 04월26일(일) / 흐림3. 산 행 자: 아들과 함께4. 가 는 길 : 남대구I.C - 고kim22300.tistory.com※ 주산~미숭산(201..
달비골 임휴사~대덕산~앞산~석정(石井)으로 ~~ ※ 약수물 한잔하러 앞산 성불정과 달비골 평안동산 중간쯤에 위치한 석정(石井)으로 ~~※ 달서구 청소년수련관~임휴사~나팔바위~대덕산~전망바위~앞산~헬기장~성불정~석정~평안동산~월곡지~소원돌탑~달서구 청소년수련관(안내도 기준 7.8km)임휴사는 대구시 달서구 대덕산(大德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영조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라 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고려 태조가 후백제의 견훤에게 팔공산 전투에서 대패하였는데, 추격을 피하여 은적사에 숨어 있다가 안일사를 거쳐 이 절에서 쉬어갔으므로 그렇게 지어졌다고 전해진다대덕산은 달서구 상인동에 있는 산이며, 해발 고도는 583.5m이다. 대덕산은 성북산, 산성산 등과 더불어 앞산을 구성하고 있다앞산 안내도에 표기되어 있는..
합천 운석충돌구 환종주로 확인차 잠시 둘러본 대암산 & 단봉산 ※ 차량을 이용해 오른 대암산 활공장대암산, 미타산 등 초계·적중 일원의 능선 33km를 연결되어 있는 운석충돌구 환종주에 관심에 있어 맞보기로 간단하고 쉽게 오를 수 있는 대암산과 단봉산을 둘러봅니다대암산은 초계면을 끼고돌아 황강 남안에서 솟은 산이다. 사면이 모두 산이면서 평평한 들판이 넓다. 대암(臺巖), 무월(舞月)의 여러 골 물 여덟 가락이 구불구불하여 역력히 헤아릴 수 있다고 한다. 패러글라이딩이 대중화되면서 활공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단봉산 산행※ 초계면사무소~단봉산 입구~쉼터~단봉산>>초계향교~초계면사무소(약 1.5km)단봉산은 초보자도 쉽게 걸을 수 있는 등산로이며 합천 운석충돌구의 신비로운 느낄 수 있는 전망데크도 새롭게 설치되었다고 한다초계면사무소 뒤편에 위치하고 있는 단봉산은 정상까..
합천의 신비스러운 내천못재~천지봉과 배티세일동굴 ※ 경남 합천의 신비한 내천못재※ 전두환 대통령 생가-내천소류지-청계서원-주차장-못재-능선삼거리-천지봉-능선삼거리-전망대-임도-내천소류지-전두환 대통령 생가(도상거리 약 4.2km)지금까지 대한민국 대통들을 되집어 보니 박통~전통~노1통~영삼~대중~노2통~맹박~여박통~문통으로 이어지는 생가지 중 가장 돋보이는 생가네요 ㅎ청계서원은 학자 우옹(愚翁) 이희한(李希顔)을 추모하기 위해 조선 명종 때 건립되었으며, 그 뒤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전치원(全致遠), 이대기(李大期)를 함께 배향하고 있다. 서당 좌우에 동재(東齋), 서재(西齋)가 있었다고 전하나 현재는 서당과 대문만 남아 있다. 지산공원은 천지못 바로 북쪽에 위치한 면적 1000여 평의 군민 편의시설로 팔각정이 있고, 잔디밭과 주변나무그늘이 좋아 인..
합천활로⑧ 영상테마 추억길 ※ 불순한 일기에 갈곳이 마땅치 않아 ~~~ 합천활로 8개 코스 중 마지막 하나 남은 영상테마 추억길입니다. 애들 어렸을 때 두~세 번 들렸던 곳, 벌써 20여년의 세월이네요※ 합천 영상테마파크 합천 영상테마파크는 영화나 드라마 촬영을 위해 세워졌다가 폐기 처분되는 전국 각지의 수많은 세트장과 달리 일반인들에게도 사랑받으며 합천의 명소로 자리 잡은 살아있는 공간이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전우치를 비롯해 최근 흥행작인 써니, 고지전까지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의 촬영지로 각광을 받으며 저마다의 사연과 스토리를 차곡차곡 쌓아나가고 있다. 해인사와 같이 익히 알려진 명소와 달리 합천 영상테마파크는 그 진면모가 알려지지 않은 곳이다. 이곳에는 일제강점기와 1980년대 서울의 모습이 정교하게 재현되어 있어, 중장..
달성군 걷기 좋은 길, 옥연지 송해공원 둘레길 ※ 비슬산 인근에서 발원한 기세곡천을 막아 조성된 저수지인 옥연지(玉淵池), 오늘은 갈곳이 마땅치 않아 산보삼아 사무실과 지근거리에 있는 옥연지 송해공원 둘레길 탐방이다※ 주차장~풍차~송해기념관~바람개비 쉼터~뚝방~구름다리~박장대소 전망대~출렁다리~폭소전망대~담소전망대~금굴~생태공원~주차장(3.5km)송해기념관 내에 선비문화체험관도 함께 자리하고 있어 이곳으로 발길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선비문화체험관에서는 선비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들도 함께 진행 하고 있다.금굴을 폐광을 활용한 테마동굴로 변신한 동굴이다옥연지는 송해 선생의 이름을 딴 이색공원봄이면 만개하는 벚꽃길로 유명한 옥연지 일대에 송해공원을 조성하여 새로운 휴양 코스로 급부상하고 있는 ..
합천 운석충돌구 환종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