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둘레길 (102) 썸네일형 리스트형 달성보 녹색길② (옥연지~달성보) 1. 산 행 지 : 옥연지 송해공원~달성보 / 대구광역시2. 산행일자 : 2025년 02월 22일(토) / 맑음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4. 산행경로 : 옥연지 송해공원-금굴갈림길-가래골 쉼터-굴다리-송촌지-굴다리-송촌리-큰평년 쉼터-송촌임도-노이리-노이지-임도-전망데크-하2리-하동지-약산마을--달성보(안내도 기준 약 10.0km)5. 산행시간 : 2시간 40분(12:10~14:50)6. 산행안내도7. 산 행 기옥연지는 송해 선생의 이름을 딴 이색공원봄이면 만개하는 벚꽃길로 유명한 옥연지 일대에 송해공원을 조성하여 새로운 휴양 코스로 급부상하고 있는 곳이다. 송해공원은 달성군 명예군민인 방송인 송해 선생의 이름을 따 명칭 한 곳으로, 둘레길 데크, 백 년 수중다리, 바람개비 쉼터, 전망대, 금동굴,.. 달성보 녹색길① (대곡역~옥연지) 1. 산 행 지 : 대곡역~옥연지 송해공원 / 대구광역시2. 산행일자 : 2025년 02월 16일(일) / 흐림> 맑음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4. 산행경로 : 대곡역-대구수목원-남평문씨 본리세거지-인흥서원-본리임도-기내미재-함박산-함박산전망대-소계정-옥연지 송해공원(안내도 기준 약 12.0km)5. 산행시간 : 4시간 00분(11:00~15:00)6. 산행안내도7. 산 행 기2012.12월에 이어 약 12년 만에 다시 걸어보는 달성보 녹색길, 달서구 대곡역에서 시작하여 화원읍~옥포읍~논공읍에 이르기까지 조성된 숲 속 도보길이며 오늘은 대곡역에서~옥연지(송해공원)까지 약 12km 정도 걸어 봅니다지하철 1호선 대곡역이 달성보 녹색길 시점이다. 유천네거리와 대구수목원 인근 삼거리를 지나 수목원 입구.. 학이 날개를 펴고 품은 듯, 포근한 학산 둘레길 ※ 강풍이 불어 되고 추운날, 전망이 트여 근교 학산에 올 라 조망을 즐겨봅니다※ 다목적운동장~학산~상인동 가스 폭팔사고 희생자 위령탑~김재소 불망비~고갯마루 쉼터~다목적 운동장(약 4.5km)이 비석은 조선시대 고종24년(서기1887년)에 이 지역에 거주하던 주민들에 의해 건립된 불망비( 승째)로서 문화재적 가치가 큰것으로 판단됩니다. 조선후기 삼정이 문란할 때 전 별제(조선시대 6품 관직명) 김재소가 이 지역 주민들의 환곡(빚)을 탕감하는데 참여하고, 또한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고 정리한 고마움을 영원히 기리기 위해 건립된 비석이라 적혀있다.학이 날개 퍼고 품은 듯 포근한 학산학산의 옛이름은 가무내산이었다. 조선 후기까지 본동을 감물천면, 가무내 마을이라 했는데 그 앞에 있는 산이라 해서 그렇게 불렀.. 근교 수성구 천을산 숲길과 우산 ※ 고산초등학교 북쪽에 자리하여 수성구민들의 접근성이 뛰어나 도심 가운데 일출 명소로 자리 잡은 천을산※ 고산초등학교~쉼터~가천동 갈림길~체육쉼터~천을산~천을산 전망쉼터~제2구민운동장 갈림길~우산~송전탑~고산중학교~고산초등학교(도상거리 약 4.0km)천을산 정상보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전망이 👍 천을(150m)은 고산초등학교 북편에 자리하여 수성구민들의 접근성이 뛰어나 도심 가운데 일출 명소로 자리 잡은 곳이다. 천을산 등산로는 약 15분 정도 소요되며 해맞이 관련 행사 진행은 등산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천을산 해맞이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천을산에서 풍물놀이 공연을 통하여 새해 시작을 알린다. 수성구민의 소원지 작성, 희망사진 촬영 공간 마련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새해맞이 희망 콘서트와 .. 근교 수성구 범어공원 순환산책로(둘레길)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과 황금동에 걸쳐 조성된 근린공원인 범어공원(泛魚公園)대구 수성구는 범어공원 순환산책로는 4.61킬로미터로 도심 산지형 공원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설계됐으며, 성인 기준 약 1시간 30분 내에 한 바퀴를 돌 수 있다. 산책로는 운동과 산책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치유 공간으로, 황금동, 범어동, 만촌동 등 인근 지역 약 10만여 명의 주민들에게 간접적인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산책로에는 대나무, 소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감태나무 등의 군락지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어, 주민들이 계절감과 숲내음을 느끼며 명상하기에 좋다고 한다 근교 걷기 좋은 길, 달성습지~대명유수지~사문진~화원동산 ※ 달서구과 달성군 경계인 대명유수지~달성습지~사문진나루터~화원동산으로 한 바퀴 돌아봅니다※ 달성습지 생태학습관~생태체험장~대명유수지~생태체험장~낙동강 생태탐방로~사문진 나루터~화원동산~화원양수장~낙동강 생태탐방로~달성습지 생태학습관(도상거리 약 5.5km)① 달성습지 생태학습관~생태체험장달성습지생태학습관은 습지의 소중한 가치를 알리고 시민 교육 체험과 함께 습지 보전과 생태관광 문화 확산을 위한 공간이다.② 대명유수지~달성습지대명유수지는 1992년 성서산업단지 침수피해 방지를 위해 258,000㎡ 규모로 조성된 유수 저류 시설이다. 2011년 8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2급 맹꽁이 최대 서식처로 발견됨에 따라 국내 최대 맹꽁이 서식처로 알려졌다. 대명유수지는 낙동강, 금호강, 대명천, 진천천이 합류하는 .. 나불지 생태공원과 신지 에코아일랜드 ※ 나불지 생태공원 대구 팔공산 초레봉 등산길 끝자락에 자리잡은 이 곳은 나무테크가 잘되어 있고 물레방아, 전통담장이 있고 밤에 거닐 수 있도록 조명시설도 좋다. 둘레를 걷고 쉬고 정자에 앉아 초레봉을 바라볼 수 있는 휴식공간이다. 여름엔 연꽃들이 피어나고 주변에는 과수원이 있어 시골 흥취를 느낄 수 있다.※ 신지 애코아일랜드(각산 새못) 신지(각산새못) 이야기초례봉 자락의 거친 비탈지를 개간하여 밭농사를 지으며 농업용수 부족의 어려움을 겪었으나 1925년 무렵부터 동구 관내 소작인 조합이 결성되어 1940년 각산 새못(신지)을 인근 소작인들과,함께 축조계획을 세워 1942년도에 499천m의 농업용수를 담수하는 저수지가 조성되어 146.2 ha의 농경지에 용수 공급하게 되므로 지역발전의 큰 기틀을 마련하.. 수성못 둘레길과 무학산 숲길 ※ 오늘은 수성구 동네에 볼일도 있고 어수선한 일기에 갈 곳이 마땅치 않아 수성못 둘레길과 최소 만보를 채우기 위해 무학산 숲길도 한 바퀴 걸어 봅니다※ 수성못 둘레길(2.0km)매년 새로운 주제와 다양한 빛예술작품으로 시민들에게 다가간 ‘수성빛예술제’가 12월 23일에서 12월 31일까지 9일간 수성못에서 빛 예술의 향연을 펼친다. 올해 6회를 맞이하는 수성빛예술제는 주민주도형 축제로 다양한 주민 작품들이 수성못 일대에 전시될 예정이다.수성못은 1940년대 대구 부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65년 건설부 고시로 수성못 주변 일대를 유원지로 결정 고시하였으며, 1982년 9월 유수지역, 운동지역, 휴양지역, 특수지역, 편입 및 관리지역 지구로 확정하였다. 그 뒤 1983년 동대구로와 연결되는 유원지 진입로.. 근교 와룡산과 자락길(1~2코스) ※ 용강서원-선원공원-와룡정-헬기장-와룡산-용두봉 갈림길-불미골 쉼터-GS주유소-와룡산자락길 입구-목교-배실출렁다리-배실웨딩공원-선원출렁다리-용강서원(안내도 기준 7.9km)※근교 와룡산과 자락길(2023.09.29) : https://kim22300.tistory.com/m/2264 근교 와룡산과 자락길1. 산 행 지 : 와룡산과 자락길/ 대구광역시 2. 산행일자 : 2023년 09월 29(금) / 흐림, 미세먼지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세방골 용산재-상리봉 전망대-와룡산--베실체력단련장-이팝나kim22300.tistory.com충렬사가 1804년(순조 4)에 지금의 이곡동 자리로 이전하면서 용강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훼.. 대구 대표 도시숲과 두류공원 두류여울길 ※ 대구 대표 도시숲~성당못 두리길~금용사~2.28 자유공원~2.28 기념탑~인물동산~산마루휴게소~성당못~대구 대표 도시숲(도상거리 약 4.0km)대구 대표 도시숲은 도시 외곽의 찬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미세먼지 저감과 도시열섬현상완화를 위한 도시바람길숲 사업으로 산림청 국비지원을 받아 두류공원에 조성한 도시숲이라 한다성당못(聖堂池)은 기존의 못을 축소 정비하여 13천여 평에 거북섬, 학섬, 분수섬(분수대)을 조성한 성당못, 옛날에는 성댕이, 상당이라고 불리다가 1910년부터 성당동이라고 불렸는데, 동네 이름을 따서 예부터 성당못이라고 했다. 성당못 자리가 아주 명당이라 장차 임금이 태어날 명당이라고 해서 나라에서 집을 짓지 못하도록 못을 만들었다고 한다. 성당못에는, 분수대, 부용정, 삼선교, 등으로.. 도심속 힐링산책길, 진밭골 둘레길(명상의 숲길) ※ 2년쯤 동행하였던 나의 분신인 등산화, 1개월에 100~150km 돌아다니다 보니 등산화 밑창이 반들~반들, 이별하기에 너무 아까워 수선후 다시 품으로 돌아와 시험 삼아 걸어본 도심속 힐링산책길, 진밭골 둘레길이다.※ 대덕지~진밭골 야영장~진밭 2교~대룡폭포 쉼터~목교~산림욕장~수성구 청소년수련원>대덕지>진밭골 산림공원(안내도 기준 8.2km)※ 생각을 담는 길 5~6코스(2024.02.24) : https://kim22300.tistory.com/m/2322 대구 수성구 '생각을 담는 길' 5~6코스1. 산 행 지 : 내관지길~진밭골길 / 대구광역시 2. 산행일자 : 2024년 02월 24일(일) / 흐림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라이온즈파크-연호지-대구스타디움-유아숲체험원.. 대구 북구 순환 테마길⑤ 연리지길 1. 산 행 지 : 연리지길 / 대구광역시2. 산행일자 : 2024년 12월 08일(일) / 맑음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4. 산행경로 : 무태성당-서변초등 갈림길-연리지-망일봉-천년쉼터-국우터널 상부-성황당고개-235봉(연경동 갈림길)-도덕산 갈림길-광해군태실-연경초교-연경동 느티나무>차량이동>연경서원(도상거리 8.2km)5. 산행시간 : 3시간 00분(11:50~12:50)6. 산행 안내도7. 산 행 기추운날씨에 바람은 덤 ~~대구 북구 순환테마길 3코스인 연리지길에 나서 봅니다.단, 연경서당~화담산 누리길~가람봉 구간은 수차례 다녀간 길이라 생략합니다연리지(連理枝)는 뿌리가 다른 나무의 줄기나 가지가 맞닿는 채로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서로 엉켜 마치 한 나무처럼 자라는 매우 희귀한 현상을 말한.. 앞산자락길 천년고찰, 은적사~안일사~임휴사 ※ 충혼탑 주차장~케이블카 정류장~은적사>케이블카 정류장~송현체육공원~안일사~안지랑골~골안골~매자골~달비골 임휴사(안내도 기준 9.8km)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926년(경애왕 3)에 영조대사(靈照大師)가 창건하였으며, 고려의 태조가 몸을 숨겼던 곳이라 하여 은적사라 하였다. 따라서 이 절을 은적사(隱蹟寺)라고도 표기한다. 그 뒤 1644년(인조 22)에 취감대사(就甘大師)가 중창하였으며, 1947년에 종원(宗源)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공산전투, 견훤의 군대에 포위를 당해 전멸의 위기에 처 했을때 신숭겸의 계책으로 탈출한 왕건은 이곳 은적사 대웅전 우측의 대나무 숲속에 있는 자연동굴에 숨었다. 이 굴에서 3일간 머물고 현재 안일사와 임휴사에서 쉰 왕건은 김천.. 대구 중구 골목투어 5코스 '남산100년 향수길' ※ 건강검진이 있는 날, 검진 후 4~5코스 이동선과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고려해 5코스를 먼저 진행한 내용 입니다※ 반월당~보현사~관덕정 순교기념관~상덕사~인쇄전시관~가톨릭대학교 남산캠퍼스~성유스티노 신학교~성모당~살트르성바오로 수녀원~2.28 민주운동 기념회관(2.12km)반월당(半月堂)은 대한민국 대구시에 위치했던 백화점이다. 대구광역시에서 한국인이 세운 최초의 백화점이며 현재 백화점은 사라지고, 반월당은 인근의 지명으로 통용된다.관덕당(觀德堂)’이라고도 불리는 관덕정은 1749년(영조 25) 경상도 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 민백상(閔百祥)이 건립한 건물로, 별무사(別武士)와 군관(軍官)을 선발하는 도시(都試)를 실시하는 도시청(都試廳)으로 사용되었다. 대구읍성 남문 밖 서남 200보 지점으로, 현.. 대구 중구 골목투어 4코스 '삼덕 봉산문화길' ※ 동선을 고려해 골목투어 5코스를 먼저 걸은후 4코스 삼덕봉산문화길이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관음사~삼덕교회(구. 대구형무소)~경북대학교병원~삼덕마루~삼덕초교~김광석 길~봉산문화거리~대구향교~건들바위(4.95km)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國債報償運動記念公園)은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조성된 국채보상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공원이다.국채보상운동은 대구에서 시작되어 전 국민이 일제의 국채를 갚기 위하여 힘을 합친 운동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일본 상인들이 큰 폭리를 취하였던 대표적인 상품 담배를 3개월 동안 끊자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고, 국권을 수호하고자 하는 국민의 염원을 담은 상징적인 운동이었다.옛)대구형무소터1894년부터 1907년까지 감옥을 관장하던 관서는 감옥서였다. 1907년 12월 감옥.. 대구 중구 골목투어 3코스 '패션한방길' ※ 서문시장~섬유회관~약령시(남성로)~동성로~주얼리타운~교동 귀금속거리(2.65kn)대구는 임진왜란 이후 남부 지방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경상감영이 설치되었고 이를 계기로 거대도시로 성장했다. 또한 낙동강이 감싸 흐르면서 수로 교통이 발달해 북쪽의 물자와 남쪽의 물자가 모여들어 시장이 발달할 여지가 충분히 갖추어져 있었다.서문시장은 원래 대구읍성의 북문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관찰사가 기거하는 경상감영이 대구에 설치된 이후 서문으로 이전하면서 서문시장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이후 대구는 남쪽의 행정중심지가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왕래했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시장의 규모 또한 크게 확대되었다.350여 년의 전통인 약령시의 역사와 약전골목의 유래를 한눈에 볼 수 있고 체험할 수 있는 전시문화 공간이다. 박물..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