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74)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5년 해돋이(동촌 해맞이다리) ※ 2025년 일출은 동촌 해맞이다리에서 맞이 합니다 즐거운 세상이 되었으면 ~~~동촌해맞이다리는 금호강을 가로지르는 폭 8m, 길이 222m 사장교로 2011년에 개통하였다. 동촌의 금호강 동쪽과 서쪽을 연결하여 동쪽과 서쪽사람이 만나는 화합의 다리라는 상징성을 가진다. 옛날 출렁다리라고도 불렸던 동촌구름다리의 추억을 연상할 수 있고 보행자와 자전거 전용다리로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다. 특히, 금호강 수면과 어우러진 야경이 아름다운 경관명소이다. 2024년 해넘이(달서구 학산) ※ 어수선한 국가와 사회 그리고 모두에게 힘들었던 2024년을 보내고다가오는 2025년은 새로운 해가 되리라 기대해 봅니다학이 날개 퍼고 품은 듯 포근한 학산학산의 옛 이름은 가무내산이었다. 조선 후기까지 본동을 감물천면, 가무내 마을이라 했는데 그 앞에 있는 산이라 해서 그렇게 불렀다. 월성동 쪽에서 보면 달이 뜨는 방향이어서 보름산, 모름산 또는 원월산( 회 AlI)이라고도 했다. 지금은 하늘에서 내려다본모습이 학이 내려앉은 모양을 닮았다 하여 학산이라 부른다. 높이는 139.7m로 숲이 그윽하고 여러 종류의 동. 식물이 살고 있어 새소리 바람소리와 함께 둘레길을 걸으면 건강과 행복을 준다. 대구 전경을 볼 수 있는 월성동 쪽 봉우리, 꽃구경과 사색에 좋은 본동 쪽 봉우리, 운동하기 좋은 송현동 쪽 .. 경북 남서부를 흐르는 금호강 걷기③ (황정교~하양교) ※ 금호강 걷기 세 번째 날, 황정교에서 시작하여 금호읍 금창교를 지나 경산시 하양읍 하양교까지 구간이다※ 황정교~화랑설화마을~잠수교~금창교~신대교~하양파크골프장-하양생활체육공원~하양교(도상거리 약 13.0km)화랑설화마을은 천 년 동안 이어진 한국의 화랑정신을 보고 느낄 수 있는 레저복합형 문화공간이다. 김유신 장군의 설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이곳은 마을 곳곳에서 김유신 장군의 탄생과 이야기를 그려낸 조형물들을 만나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화랑들이 수련했던 활쏘기를 체험하는 국궁 체험장, 화랑과 우주에 대한 VR 체험을 할 수 있는 신화랑 우주체험관 등이 있어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체험을 할 수 있다. 마을 내, 영천관에서 준비된 재료로 직접 만들어보고 맛볼 수 있는 ‘화랑피자 만들기’까지 알차.. 경북 남서부를 흐르는 금호강 걷기② (단포교~황정교) ※ 금호강 걷기 두 번째, 오늘은 지난 구간 단포교에서 시작하여 영천시내 인근 금호강변을 경유하여 화랑설화마을이 있는 황정교까지 간단하게 걸어 봅니다※ 단포교~목교~조교파크골프장~영록교~영화교~영동교~조양각~영천교~영서교~국철 중앙선, 대구선 철교~금호대교~황정교(도상거리 약 11km)조교파크골프장 인근에서 자호천이 고촌천을 합류하여 비로서 금호강의 이름이 부여되고 영천시내를 지날 때는 금호강 좌, 우안 관계없이 영서교까지 진행하면 되는 길이다.강풍이 내내 몰아 치네요. 군복무 시절 '영천바람 ㅇㅇ바람이라' 이라 흉을 보곤 했었는데 오늘이 딱 그날이네요조양각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남천(南川) 북쪽 언덕 위에 우뚝 솟아 있는 건물이다.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당시 부사(府使).. 경북 남서부를 흐르는 금호강 걷기① (영천댐~단포교) ※ 금호강은 낙동정맥 가사령 인근에서 발원하여 경북 남서부를 흘러 낙동강에 합류하는 강이다. 영천댐~영천~하양~동촌~낙동강과 합류지점인 강정보까지 약 90여km 구간을 자전거 전용도로와 둔치, 제방을 이용하고 대중교통(버스, 지하철)을 이용하기 편리한 곳을 감안해 구간을 끊어서 걸어 보기로 한다.※ 영천댐~영천댐공원 오토캠핑장~동인교~임고강변공원~선원교~대환교~양향교~양수교~자호천 자전거도로~자호천교~임고서원>자호천교~목교~단포교(도상거리 약 15.0km)단포교 인근 둔치에 주차를 하고 500m쯤 걸어서 조교삼거리에 있는 식당에서 따뜻한 국밥 한 그릇(한우국밥, 왕갈비탕) 비우고 450번 버스를 이용하여 영천댐 하차후 금호강 걷기를 시작합니다. 영천은 40년 전 군복무를 했던 곳, 그리고 아들의 외가집이.. 수성못 둘레길과 무학산 숲길 ※ 오늘은 수성구 동네에 볼일도 있고 어수선한 일기에 갈 곳이 마땅치 않아 수성못 둘레길과 최소 만보를 채우기 위해 무학산 숲길도 한 바퀴 걸어 봅니다※ 수성못 둘레길(2.0km)매년 새로운 주제와 다양한 빛예술작품으로 시민들에게 다가간 ‘수성빛예술제’가 12월 23일에서 12월 31일까지 9일간 수성못에서 빛 예술의 향연을 펼친다. 올해 6회를 맞이하는 수성빛예술제는 주민주도형 축제로 다양한 주민 작품들이 수성못 일대에 전시될 예정이다.수성못은 1940년대 대구 부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65년 건설부 고시로 수성못 주변 일대를 유원지로 결정 고시하였으며, 1982년 9월 유수지역, 운동지역, 휴양지역, 특수지역, 편입 및 관리지역 지구로 확정하였다. 그 뒤 1983년 동대구로와 연결되는 유원지 진입로.. 근교 와룡산과 자락길(1~2코스) ※ 용강서원-선원공원-와룡정-헬기장-와룡산-용두봉 갈림길-불미골 쉼터-GS주유소-와룡산자락길 입구-목교-배실출렁다리-배실웨딩공원-선원출렁다리-용강서원(안내도 기준 7.9km)※근교 와룡산과 자락길(2023.09.29) : https://kim22300.tistory.com/m/2264 근교 와룡산과 자락길1. 산 행 지 : 와룡산과 자락길/ 대구광역시 2. 산행일자 : 2023년 09월 29(금) / 흐림, 미세먼지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세방골 용산재-상리봉 전망대-와룡산--베실체력단련장-이팝나kim22300.tistory.com충렬사가 1804년(순조 4)에 지금의 이곡동 자리로 이전하면서 용강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훼.. 대구 대표 도시숲과 두류공원 두류여울길 ※ 대구 대표 도시숲~성당못 두리길~금용사~2.28 자유공원~2.28 기념탑~인물동산~산마루휴게소~성당못~대구 대표 도시숲(도상거리 약 4.0km)대구 대표 도시숲은 도시 외곽의 찬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미세먼지 저감과 도시열섬현상완화를 위한 도시바람길숲 사업으로 산림청 국비지원을 받아 두류공원에 조성한 도시숲이라 한다성당못(聖堂池)은 기존의 못을 축소 정비하여 13천여 평에 거북섬, 학섬, 분수섬(분수대)을 조성한 성당못, 옛날에는 성댕이, 상당이라고 불리다가 1910년부터 성당동이라고 불렸는데, 동네 이름을 따서 예부터 성당못이라고 했다. 성당못 자리가 아주 명당이라 장차 임금이 태어날 명당이라고 해서 나라에서 집을 짓지 못하도록 못을 만들었다고 한다. 성당못에는, 분수대, 부용정, 삼선교, 등으로.. 도심속 힐링산책길, 진밭골 둘레길(명상의 숲길) ※ 2년쯤 동행하였던 나의 분신인 등산화, 1개월에 100~150km 돌아다니다 보니 등산화 밑창이 반들~반들, 이별하기에 너무 아까워 수선후 다시 품으로 돌아와 시험 삼아 걸어본 도심속 힐링산책길, 진밭골 둘레길이다.※ 대덕지~진밭골 야영장~진밭 2교~대룡폭포 쉼터~목교~산림욕장~수성구 청소년수련원>대덕지>진밭골 산림공원(안내도 기준 8.2km)※ 생각을 담는 길 5~6코스(2024.02.24) : https://kim22300.tistory.com/m/2322 대구 수성구 '생각을 담는 길' 5~6코스1. 산 행 지 : 내관지길~진밭골길 / 대구광역시 2. 산행일자 : 2024년 02월 24일(일) / 흐림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라이온즈파크-연호지-대구스타디움-유아숲체험원.. 대구 북구 순환 테마길⑤ 연리지길 1. 산 행 지 : 연리지길 / 대구광역시2. 산행일자 : 2024년 12월 08일(일) / 맑음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4. 산행경로 : 무태성당-서변초등 갈림길-연리지-망일봉-천년쉼터-국우터널 상부-성황당고개-235봉(연경동 갈림길)-도덕산 갈림길-광해군태실-연경초교-연경동 느티나무>차량이동>연경서원(도상거리 8.2km)5. 산행시간 : 3시간 00분(11:50~12:50)6. 산행 안내도7. 산 행 기추운날씨에 바람은 덤 ~~대구 북구 순환테마길 3코스인 연리지길에 나서 봅니다.단, 연경서당~화담산 누리길~가람봉 구간은 수차례 다녀간 길이라 생략합니다연리지(連理枝)는 뿌리가 다른 나무의 줄기나 가지가 맞닿는 채로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서로 엉켜 마치 한 나무처럼 자라는 매우 희귀한 현상을 말한.. 경산 불굴사 홍주암과 삼성현 숲길 ※ 무학산 산행(2009.04.05) : https://kim22300.tistory.com/m/465 경산 무학산 산행* 옛 하양현의 진산(鎭山)인 무학산(舞鶴山) 정상의 풍경 1. 산 행 지 :무학산(575m) / 경북 경산시 2. 산행일자 : 2010년 10월 21일(일) / 맑음 3. 산 행 자 : 홀로 4. 가 는 길 : 남대구I.C - 청통와촌I.C - 909kim22300.tistory.com※ 무학산 산행길은 벌써 15년의 세월, 훌딱 지나 가네요. 이곳 저곳 검색하다 보니 불굴사가 있는 경산 고을입니다경산 불굴사 삼층석탑은 2층의 받침돌 위에 3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려 제작한 전형적인 신라 시대 석탑이다. 상륜부(相輪部)의 일부가 없어진 것을 제외하면,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보존되어 .. 앞산자락길 천년고찰, 은적사~안일사~임휴사 ※ 충혼탑 주차장~케이블카 정류장~은적사>케이블카 정류장~송현체육공원~안일사~안지랑골~골안골~매자골~달비골 임휴사(안내도 기준 9.8km)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926년(경애왕 3)에 영조대사(靈照大師)가 창건하였으며, 고려의 태조가 몸을 숨겼던 곳이라 하여 은적사라 하였다. 따라서 이 절을 은적사(隱蹟寺)라고도 표기한다. 그 뒤 1644년(인조 22)에 취감대사(就甘大師)가 중창하였으며, 1947년에 종원(宗源)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공산전투, 견훤의 군대에 포위를 당해 전멸의 위기에 처 했을때 신숭겸의 계책으로 탈출한 왕건은 이곳 은적사 대웅전 우측의 대나무 숲속에 있는 자연동굴에 숨었다. 이 굴에서 3일간 머물고 현재 안일사와 임휴사에서 쉰 왕건은 김천.. 창녕의 걷기 좋은 길, 역사와 문화가 흐르는 창녕천 * 젊음의 광장~창녕상설시장~술정교~직교 1교~조산교~술정리 서 삼층석탑~직교 1교~술정교~술정리 동 삼층석탑~젊음의 광장(2.0km)창녕상설시장은 1980년 개설된 상가주택건물형의 소형시장이며 상설시장이면서 오일장(3.8)이다시끌벅적한 오일장이 서면 정말 다양한 품목들이 있어서 보는 재미, 사는 재미도 있는 곳이다창녕 진양 하씨 고택은 국가 민속 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어 있는 가옥으로 고택은 진양 하씨가 대를 이어 살아온 조선시대 일반 살림집이다. 진양 하씨 고택은 안채, 사랑채, 문간채로 이루어져 있는 초가집으로 모두 남쪽을 향해 있다.술정리 서 삼층석탑(보물 제520호)은 상하의 이층 기단 위에 3층을 세운 탑으로 높이는 5.1m입니다기단은 8개의 면석으로 조립되고 탱주는 4매씩 되었으며 옥신과 .. 창녕의 걷기 좋은 길, 창녕함안보 ※ 산불경방기간(11.15~12:15)이라 갈곳이 마땅치 않아 경남 창녕으로 내려가 봅니다.* 창녕 함안보 주차장~노고지리공원~창녕함안보 주차장(5.4km)창녕함안보는 농업용수와 상수도 취수를 위한 목적으로 경남 창녕군 길곡면과 함안군 칠북면을 지나는 낙동강에 설치된 보이다. 4대강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보의 길이 549.3m, 높이 10.7m, 유역면적은 20,697km² 이다. 홍수를 조절하고 농업용수와 생활용수를 공급하며, 설치된 소수력발전기로 연간 8천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다기능보이다. 대구 중구 골목투어 5코스 '남산100년 향수길' ※ 건강검진이 있는 날, 검진 후 4~5코스 이동선과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을 고려해 5코스를 먼저 진행한 내용 입니다※ 반월당~보현사~관덕정 순교기념관~상덕사~인쇄전시관~가톨릭대학교 남산캠퍼스~성유스티노 신학교~성모당~살트르성바오로 수녀원~2.28 민주운동 기념회관(2.12km)반월당(半月堂)은 대한민국 대구시에 위치했던 백화점이다. 대구광역시에서 한국인이 세운 최초의 백화점이며 현재 백화점은 사라지고, 반월당은 인근의 지명으로 통용된다.관덕당(觀德堂)’이라고도 불리는 관덕정은 1749년(영조 25) 경상도 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 민백상(閔百祥)이 건립한 건물로, 별무사(別武士)와 군관(軍官)을 선발하는 도시(都試)를 실시하는 도시청(都試廳)으로 사용되었다. 대구읍성 남문 밖 서남 200보 지점으로, 현.. 대구 중구 골목투어 4코스 '삼덕 봉산문화길' ※ 동선을 고려해 골목투어 5코스를 먼저 걸은후 4코스 삼덕봉산문화길이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관음사~삼덕교회(구. 대구형무소)~경북대학교병원~삼덕마루~삼덕초교~김광석 길~봉산문화거리~대구향교~건들바위(4.95km)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國債報償運動記念公園)은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조성된 국채보상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공원이다.국채보상운동은 대구에서 시작되어 전 국민이 일제의 국채를 갚기 위하여 힘을 합친 운동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일본 상인들이 큰 폭리를 취하였던 대표적인 상품 담배를 3개월 동안 끊자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고, 국권을 수호하고자 하는 국민의 염원을 담은 상징적인 운동이었다.옛)대구형무소터1894년부터 1907년까지 감옥을 관장하던 관서는 감옥서였다. 1907년 12월 감옥.. 이전 1 2 3 4 5 ··· 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