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 행 지 : 해일봉+파계사 산내암자길 / 대구광역시
2. 산행일자 : 2025년 03월 22일(토) / 맑음, 미세먼지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파계지구 주차장-해일능선-산불감시초소(돌탑봉)-해일봉-도각봉 갈림길-성전암-대비암-파계사-파계사 옛길-파계지구 주차장(도상거리 약 5.4km)
5. 산행시간 : 2시간 20분(13:20~15:40)
6. 산행안내도
※ 파계사 산내암자길(2024.11.08) : https://kim22300.tistory.com/m/501851
파계사 산내암자길(파계사~대비암~성전암)과 해일봉
※ 막바지 단풍구경과 절간에도 방문할 겸 해서 파계사~대비암~성전암~해일능선으로 한바뀌 돌아본 길이다※ 팔공산 파계사지구 주차장~일주문~파계사 옛길~파계사~대비암~성전암~해일봉~연화
kim22300.tistory.com
7. 산 행 기
※ 작년 11월 단풍구경차 파계사 산내암자길 산행 후 4개월 만에 다시 찾은 파계사 산내암자길, 오늘은 아들과 함께 역순으로 올라가 봅니다
성전암(聖殿庵)의 창건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그렇지만 파계사가 현응대사(玄應大師)의 영조 탄신 기도로 왕실의 원찰(願刹)이 되고 왕실의 위패를 모시는 기영각(祈永閣)이 1696년(숙종 22)에 조성되면서 함께 건립되었다고도 한다. 1696년(숙종 22)에 건립된 고찰이며, 승려 성철(性澈)이 10년간 두문불출(杜門不出)하고 수행한 공간이다. 창건 이후 한동안 사적 기록 없다. 1857년(철종 8)에 계정상인(戒正上人)이 성전암을 보수하였다. 1914년에 화재가 발생하여 1915년에 보령(保寧)·관해(寬海) 등이 중창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부처님의 대자대비(大慈大悲)를 상징하는 관음 도량이라는 의미에서 ‘대비암’이라 하였다. 대비암은 1987년에 토굴과 같은 초가집이 있던 것을 승려 법준이 불사를 일으켜 2000년에 현재와 같은 선원과 대웅보전(大雄寶殿) 및 요사(寮舍)를 건립하였다고 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사적기에 의하면 804년(애장왕 5)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창건하였고, 1605년(선조 38) 계관(戒寬)이 중창하였으며, 1695년(숙종 21) 현응(玄應)이 삼창 하였다.
이 길은 지금의 도로를 만들기 전에 스님, 신도들이 다니던 산길로서 파계사의 협조로 팔공산 국립공원 동부사무소에서 복원한 옛길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사적기에 의하면 804년(애장왕 5)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창건하였고, 1605년(선조 38) 계관(戒寬)이 중창하였으며, 1695년(숙종 21) 현응(玄應)이 삼창 하였다. 현응은 숙종의 부탁에 따라 세자의 잉태를 기원하며 농산(聾山)과 함께 백일기도를 하였는데, 백일기도가 끝나는 날 농산은 숙빈 최 씨에게 현몽하고 세자로 다시 태어났다고 한다. 이 세자가 후에 영조로 즉위한다. 이때 숙종은 현응의 공을 높이 사서 파계사를 중심으로 둘레 40리에 걸쳐 나라에 내는 세금을 파계사에서 거두어들이라는 명을 내렸다고 한다
'대구지역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무공원(단산지) 만보산책로 (2) | 2025.03.22 |
---|---|
달성 가창누리길 3구간 (6) | 2025.03.21 |
달성 가창누리길 2구간 (8) | 2025.03.19 |
달성 가창누리길 1구간 (0) | 2025.03.19 |
팔공산 갓바위 소원길/갓바위 가는길(관봉→소원길 주차장) (4)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