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구간 출발지는 행정교, 시점은 해오름마을로 표기되어 있다. 출발지와 시점의 의미를 잘 모르겠네요.
오늘은 안내도에는11.6km로 되어 있지만 실거리는 13km 정도, 3구간을 나서 봅니다


※ 행정교-해오름마을-행정 2리 마을회관-흥덕마을-행정 2지(구약수탕)-용지봉 안부-진밭골 입구-욱수정 갈림길-감태봉-광산고개-병풍산-비내고개-상원임도-상원리 마을회관-해오름마을-행정교(안내도 기준 11.6km)





마을에 은행나무가 있어 행정리라 불렀다고 전해지며 신천의 유역 분지에 자리 잡은 우리 마을은 북쪽으로 용의 못이 있는 봉우리라는 뜻의 용지봉이 솟아 있고,
이 용지봉에서 남동쪽 병풍산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가 마을을 둘러싸고 있다고 안내판에 전혀 있다


















행정 2지(구약수탕)에서 이곳 용지봉 능선까지 약 1.3km 구간은 등산로 정비가 절실한 곳이다. 제대로 된 이정목조차 없으며 등산로인 듯, 아닌 듯?







산불로 민둥산으로 변해 버린 감태봉, 표현하기에 죄송하고 부끄러울 표현이지만 주변 전망이 트여 버렸네요













병풍산(屛風山)은 남쪽 동학산의 학이 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병풍처럼 서 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전망이 있었던 봉우리라 기억하는데 전망이 전혀 없다
대구둘레길 2회, 비슬산 환종주 산행, 가창누리길, 주변 성암산, 용지봉 산행때 가끔 오른 병풍산이다






경북 경산시 남천면과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를 연결하는 고개이다. 지형이 비녀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비녀고개, 비녀골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대구부 하수남면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하수남면의 상원동, 창산동, 반곡동 및 전평동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상원동이 되었다가 그 후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어,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가 되었다.





한천서원(寒泉書院)은 충렬공 전이갑과 충강공 전의갑을 배향하고 있으며 고려의 개국 공신이다. 927년(태조 10) 견훤의 침공을 받은 신라를 돕기 위하여 왕건과 함께 출정하여 동수산(현 팔공산)에서 싸우던 중 순절하였다.
요즘도 재방하는 케이블방송(CH69:우리집 기준) 태조왕건 편에 전이갑, 전의갑 형제분이 출연하고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 단산리, 상원리에 조성되어 있는 도보길이며 자연 훼손 없는 친환경 산책로를 조성하여 도시민들에게 녹색 여가를 즐기며 등산 등 취미 생활과 건강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12년에 조성되었다.
단산리 회관에서 출발하여 구약수탕, 상원지, 전평지, 가창 체육공원을 거쳐 한천 서원에 도착하는 24.5㎞의 도보길이다. 총 3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 1구간(5.2km) : 단산리 회관에서 시작하여 단산지, 진달래 꽃길, 상원지 전망 데크, 가제골 회관, 서상원리 마을 회관, 전평지에 이르는 경로이다
※ 2구간(7.7km) : 가창체육공원에서 시작하여 전평지, 천인 염색장을 거쳐 다시 가창 체육공원으로 돌아오는 경로이다.
※ 3구간(11.6km) : 행정교에서 시작하여 행정 2리 마을 회관, 구 약수탕 전망 데크, 병풍산 정상, 가창 성당, 한천 서원을 거쳐 행정교로 돌아오는 경로이다.
'대구지역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해일봉과 파계사 산내암자길 (2) | 2025.03.23 |
---|---|
봉무공원(단산지) 만보산책로 (2) | 2025.03.22 |
달성 가창누리길 2구간 (8) | 2025.03.19 |
달성 가창누리길 1구간 (0) | 2025.03.19 |
팔공산 갓바위 소원길/갓바위 가는길(관봉→소원길 주차장) (4)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