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 행 지 : 신리생태마을~월광사 / 경북 고령군, 합천군
2. 산행일자 : 2024년 07월 31일(수) / 맑음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신리생태마을-낙골마을-신리저수지-신리임도-미숭산 자연휴양림-대가야 고령생태숲~나상현 고개-다래골-나대 2구 마을-나대 1구 마을-월광사(안내도 기준 11.6km)
5. 산행시간 : 3시간 50분(12:00~15:50)
6. 산행안내도
7. 산 행 기
3코스 출발지는 신리생태마을에서 시작합니다. 원광사까지 11.6km 정도 되네요. 고령~나상현 고개~합천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다 보니 대중교통을 이용 할려면 하루종일 소요 됩니다.
신리녹색농촌체험마을은 옥담·낫골·음지마 3개의 부락으로 형성된 웰빙 농촌 체험 마을이다.
신리마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농촌 문화, 농사 체험을 관광 상품화하려는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도시민들이 휴양은 물론 체험을 할 수 있는 체험관 등의 기반 시설을 설치하여 체험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되어 있다
미숭산(美崇山)은 고령군 대가야읍 쌍림면과 경남 합천군 야로면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북서쪽의 문수봉, 동쪽의 주산(主山,310m)과 이어지는 명산으로 원래 이름은 상원산(上元山)이다. 산꼭대기는 고위 평탄면인 데 비해 주위는 험준한 급경사이며, 가장자리에는 조선 초부터 쌓은 석성(石城)과 샘·못·군창(軍倉) 등이 있었다고 하며 고려 말 정몽주의 문인인 안동장군(安東將軍) 이미숭(李美崇)이 이성계와 접전하다가 순절한 산이기도 하다. 이미숭이 이 산을 근거지로 성을 쌓고 군사를 조련하여 이성계에 대항한 절개를 기려 이름이 미숭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 미숭산 자연휴양림 : https://misungsan.foresttrip.go.kr/
미숭산 자연휴양림
경상북도, 고령군, 미숭산, 미숭산자연휴양림, 자연휴양림
misungsan.foresttrip.go.kr
대가야 고령 생태 숲은 미숭산[757m] 일 원 약 49만 1000m의넓은 산림에 미숭산 과 미숭산 자연 휴양림 주변의 자생 식물과 향토 수종을 식재.복원하여 자연 환경 훼손 의 위협으로부터 산림 생물 자원을 보호하 는 동시에 숲 교육 체험원∙소리 향기원.자 생 식물원, 숲, 테라피원, 꽃채원, 시원한 그늘 숲 등의 시설을 갖추어 숲속의 주제를 체험 탐구할 수 있도록 조성된 공간이다.
팔만대장경 이운 행렬은 미숭산 고개를 넘어 합천군 야로면 월광마을로 내려간다. 신비의 땅 합천이다. 몸은 천근만근, 내리막길에 합천 해인사를 지척에 두고 있어 마음은 가볍게 느껴진다
월광사 앞 소나무 숲에 말없이 서 있는 두 개의 석탑. 보물 제129호인 월광사지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졌다. 쌍탑으로 불리기도 한다. 동쪽과 서쪽에서 서로 마주 보고 서 있다. 이중기단에 삼층 몸돌을 갖춘 전형적인 신라 탑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탑의 높이는 5.5m이다.
고령~나상현 고개~합천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다 보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차량회수를 할려면 하루종일 소요,.
가족 찬스를 이용한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돌아 갑니다
팔만대장경 이운 순례길은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경상남도 합천군에 걸쳐 조성된 길이며 낙동강 개경포에서 해인사까지 대장경의 육상 이운 경로를 따라 ‘순례의 길, 치유의 길, 성찰의 길, 신화의 길’ 등 4개 테마의 탐방로 조성, 테마별 체험 프로그램 운영, 팔만대장경 걷기 축제 개최, 지역의 관련 역사·문화 자원 연계 등을 내용으로 하여 진행한 사업이었다. 팔만대장경 이운 순례길은 해인사 팔만대장경 경판(8만 1258개 양면 목판)을 옮긴 여정 중 낙동강 개경포에서 합천 해인사 구간을 재현한 탐방·체험 순례길로, 경상북도 성주군 구간은 수륜면 백운리에 조성되어 있다. 팔만대장경 이운 순례길 조성 사업은 가야와 가야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동질적인 역사·문화와 자연을 공유한 경상북도 성주군, 고령군, 경상남도 합천군이 광역 연계 협력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팔만대장경의 이운은 수많은 백성들의 믿음과 참여 속에서 8만 장이 넘는 경판이 마모된 흔적이 전혀 없이 경판끼리 맞닿은 흔적조차 남기지 않고 완벽하게 이루어졌다. 경판을 베나 한지로 포장하고 땀에 젖을 것을 염려하여 등에 지지 않고 머리에 이고 옮겼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팔만대장경 이운 순례길은 육로와 해로를 포함하여 그 정확한 경로는 아직 전해지지 않고 있다.
'고령 대가야 둘레길, 이운순례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만대장경 이운순례길 5코스 (0) | 2024.08.04 |
---|---|
팔만대장경 이운순례길 4코스 (0) | 2024.08.04 |
팔만대장경 이운순례길 2코스 (0) | 2024.07.29 |
팔만대장경 이운순례길 1코스 (2) | 2024.07.29 |
고령 대가야 둘레길 번외코스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