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백두대간의 산,봉,치,재

*지리산 연하선경과 천왕봉


백두대간 산,봉,치,재

천왕봉-제석봉-연하봉-삼신봉-촛대봉-영신봉-칠선봉-덕평봉-벽소령-형제봉-명선봉-토끼봉-화개재-삼도봉-

반야봉-임걸령-돼지령-노고단-코재-종석대-성삼재-작은고리봉-묘봉치-만복대-정령치-고리봉-수정봉-여원재-

고남산-통안재-유치재-유치-사치재-복성이재-치재-다리재-봉화산-광대치-월경산-중재-중고개재-백운산-

영취산-덕운봉-민령-깃대봉-육십령-할미봉-신풍령-남덕유서봉-남덕유산-월성치-삿갓봉-삿갓골재-무룡산-

동업령-백암봉-귀봉-횡경재-지봉-월음령-대봉-갈미봉-빼재-수정봉-된새미기재-호절골재-삼봉산-소사고개-

삼도봉-대덕산-덕산재-부항령-삼도봉-밀목재-화주봉-우두령-바람재-형제봉-황악산-백운봉-운수봉-괘방령-

가성산-장군봉-눌의산-추풍령-금산-사기점고개-묘함산-작점고개-갈현-용문산-국수봉-큰재-회룡재-개터재-

윗왕실-백학산-개머리재-지기재-신의터재-윤지미산-화령재-봉황산-비봉-못재-형제봉-피앗재-속리산천황봉-

비로봉-입석대-신선대-문수봉-문장대-밤티재-늘재-청화산-갓바위재-조항산-고모령-밀재-대야산-촛대재-

촛대봉-불란치재-곰넘이봉-버리미기재-장성봉-악휘봉-은티재-주치봉-구왕봉-지름티재-희양산-시루봉-이만봉-

곰틀봉-사다리재-평전치-백화산-황학산-이화령-조령산-조령-마폐봉-부봉-평천재-탄항산(월항삼봉)-하늘재-

포암산-관음재-부리기재-대미산-새목재-차갓재-작은차갓재-황정산-감투봉-황정재-폐백이재-벌재-문봉재-

옥녀봉-저수재-촉대봉-시루봉-배재-싸리재-뱀재-솔봉-묘령-묘적봉-도솔봉-삼형제봉-죽령-제2연화봉-연화봉-

제1연화봉-소백산비로봉-국망봉-상월봉-늦은맥이-마당치-고치령-미내치-마구령-갈곶산-늦은목이-선달산-

박달령-옥돌봉-도래기재-우구치임도-금정임도-구룡산-곰넘이재-신선봉-깃대배기봉-부소봉-태백산-화방재-

수리봉-창옥봉-만항재-함백산-중함백-은대봉-싸리재(두문동재)-금대봉-비단봉-피재-매봉산-건의령-푯대봉-

구부시령-덕항산-자암재-큰재-황장산-댓재-목통령-두타산-박달령-청옥산-연칠성령-만군대-고적대-갈미봉-

이기령-상월산-원방재-백봉령-자병산-생계령-석병산-두리봉-삽당령-석두봉-화란봉-닭목재-고루포기산-

횡계현-능경봉-대관령-선자령-곤신봉-매봉-소황병산-노인봉-진고개-동대산-두로령-신배령-만월봉-응복산-

마늘봉-약수산-구룡령-갈전곡봉-조침령-신조침령-북암령-단목령-점봉산-망대암산-필례령-한계령-끝청-

대청봉-중청봉-소청봉-무너미고개-천화대-나한봉-마등령-저항령-황철봉-미시령-상봉-화암재-신선봉-대간령-

마산-진부령-칠철봉-향로봉

(색인은 대간,정맥의분기점)

고개, 재, 령(嶺), 현(峴), 치(峙), 천(遷)의 용어개념


山, 峰, 臺에 대한 사용기준은 개인적인 생각과 추측이라 답변이 조심스럽습니다.


대(臺)는 큰 바위로 형성된 봉우리를 뜻하고 특별히 경관이 좋은 곳에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봉(峰)은 여러 봉우리로 이뤄진 산의 각 봉우리에 주로 사용된 듯 하며

산(山)은 봉우리의 집합체이거나 독립된 봉우리일 때 사용한듯합니다.


그러나 이런 명칭의 사용도 아래 고개 등의 답변처럼 사용기준이 확실치 않습니다.

다른 분들의 다른 좋은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고개에 관한 대략적인 설명을 자료를 인용하여 올립니다.

고개를 나타내는 지명은 한자어로 령(嶺), 현(峴), 치(峙), 천(遷) 등이 있고

우리말은 재, 고개 등이 있다.


이들 용어의 뚜렷한 사용 기준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각 용어들이 혼재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많다.

이는 지명의 부침이 강했던 이유와 역사의 격변이 잦았던 이유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이들 중 재는 한자로 岾라는 우리나라 고유한자로 표기되기도 한다.


또한 고개는 한자로 古介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이북 특히 함경도, 평안도에서 많이 보인다.

이는 이 지방의 사투리로서 후대에 표준말로 정착이 된 듯하다.


천(遷)은 산에 있는 길 중에서도 아주 좁은 길로서 특히 벼랑 부근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너기에는 다소 험한 고갯길에 해당한다.

(예 : 문경시의 관갑천)


과거 우리의 고개 지명에서 현지 주민에 의해 사용되던 우리말 지명은

대부분 재를 사용했으리라 추측된다(예 : 태백시의 싸리재).


그러나 이러한 고개명이 한자지명으로 바뀌면서 령(嶺), 현(峴), 치(峙)가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데 엄밀한 기준에 의해 고개를 구분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고개의 지형적 규모나 형세, 특성 등에 의해 각각을 령, 현, 치로

구분하는 것은 당시의 지형학 수준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만약 산이나 고개, 하천 등을 엄밀한 기준에 의해 구분했다면

우리의 전통 지형학 수준이 상당히 높았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자연지형을 범주화할 수 있는 학문적 토양이 없었음이 사실이고

이는 동양 학문의 한 특징을 이루기도 한다.


만약 특정 기준에 입각하여 이를 분류하려는 학자가 있었다 하더라도

전국 지형의 부단한 답사, 조사가 뒷받침되어야 가능한 일이고,

설령 이 작업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후대에 강한 역사적 부침을 겪었던 지명이

온전하게 남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까 추측된다.


다만 그래도 고개에 대한 대략적인 기준이라도 마련해 보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은 추측은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이 아닌 어디까지나 추측이다.


령(嶺)은 규모나 통행량의 면에서 큰 지역을 나타내며 지역간 통행의 중요한 통로를

형성하고 일찍부터 군사 요지로 주목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백두대간 상의 큰 고개는 령(嶺)이라는 지명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예 : 대관령, 조령, 죽령, 추풍령).


현(嶺)은 령보다는 한 단계 아래의 고개를 나타낸다.

즉 규모나 유통량에서 령보다는 낮은 급이며 지방 중소 산지의 고갯길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치(峙)는 고개가 통과하는 산지가 다소 험준한 느낌을 주는 곳이며,

이는 꼭 산지가 높다는 의미는 아니다.

나지막한 산이면서도 우뚝 솟은 듯한 산을 경유하는 경우

치의 지명이 붙여질 가능성이 있다

(예 : 지리산의 정령치, 소백산의 마당치, 미내치).


고개는 우리말 지명으로 민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재와 고개중 재가 시기적으로 다소 앞서 사용된 듯하고

고개는 그 이후에 표준어로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고개 지명의 쓰임에 대한 정확한 기준을 찾아보는 작업은 대단히

의미 있는 작업이 될 수 있다.


백두대간을 비롯해 여러 정맥들에서 나타나는 고개 지명과

그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상호 비교해 보면 각 용어별로 대략적인 윤곽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역(逆)으로 기준을 추적하는 작업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지 주민들에 대한 방문청취 조사와

지형 조사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 백두대간 주요 산 ]
01. 마 산 1,052강원도 고성군 풍속계측기, 군부대터
02. 신 선 봉 1,204강원도 고성군, 인제군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03. 황 철 봉 1,381강원도 인제군, 속초시설악산국립공원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04. 대 청 봉 1,708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속초시설악산국립공원 기념비석과 안내판, 중청대피소
05. 망대암산 1,236강원도 인제군, 양양군설악산국립공원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바위지대
06. 점 봉 산 1,424강원도 인제군, 양양군설악산국립공원 이정표, 정상표시석
07. 갈전곡봉 1,204강원도 홍천군, 인제군, 양양군넓은공터, 이정표
08. 약 수 산 1,306강원도 홍천군, 양양군표지목
09. 응 복 산 1,360강원도 홍천군, 양양군이정표
10. 두 로 봉 1,422강원도 평창군, 홍천군 헬기장, 오대산국립공원 이정표, 산림관리청 안내판
11. 동 대 산 1,434강원도 평창군, 강릉시헬기장, 오대산국립공원 천연보호림표지석, 이정표
12. 노 인 봉 1,338강원도 평창군, 강릉시오대산국립공원 정상 밑 산장, 표지석, 이정표
13. 소황병산 1,338강원도 평창군, 강릉시오대산국립공원 정상표시석, 안내판, 정상 목장
14. 매 봉 1,173강원도 평창군, 강릉시오대산국립공원 목장, 기상관측시설
15. 능 경 봉 1,123강원도 평창군, 강릉시정상표지목
16. 고루포기산 1,238강원도 평창군, 강릉시정상표지목, 송전철탑, 남쪽 고랭지채소 재배단지
17. 화 란 봉 1,069강원도 강릉시 이정표
18석 두 봉 991 강원도 강릉시 바위지대
19. 두 리 봉 1,024강원도 정선군, 강릉시표지판
20. 석 병 산 1,055강원도 정선군, 강릉시표지석
21. 자 병 산873 강원도 정선군,강릉시 한라시멘트 석회광산으로 없어짐
22. 상 월 산 980 강원도 정선군, 동해시 고사목
23. 고 적 대 1,354강원도 정선군, 동해시,삼척시정상표시석
24. 청 옥 산 1,403강원도 동해시, 삼척시 정상표시석, 헬기장, 통신안테나
25. 두 타 산 1,353강원도 동해시, 삼척시 기념비석, 헬기장
26. 덕 항 산 1,071강원도 삼척시, 태백시 산불감시탑
27. 매 봉 산 1,303강원도 태백시 CableTV Antenna, 고랭지채소 재배단지, 낙동정맥 분기점
28. 함 백 산 1,573강원도 태백시, 정선군 MBC/KBS중계소, 한국통신기지국, 군부대
29. 태 백 산 1,567강원도 태백시 도립공원, 천제단, 헬기장, 기념비석,
30. 구 룡 산 1,344강원도 영월군, 경북 봉화군헬기장, 산불방화선
31. 옥 돌 봉 1,242경북 봉화군 정상석, 헬기장
32. 선 달 산 1,236강원도 영월군, 경북 영주시, 봉화군헬기장, 표지목
33. 국 망 봉 1,421충북 단양군, 경북 영주시소백산국립공원 표지석, 이정표, 안내판
34. 비 로 봉 1,440충북 단양군, 경북 영주시소백산국립공원 정상기념비석, 무인대피소
35. 도 솔 봉 1,314충북 단양군, 경북 영주시소백산국립공원 이정표, 표지동판/돌탑, 헬기장
36. 황 장 산 1,078경북 문경시월악산국립공원 헬기장, 정상 표지석, 이정표
37. 대 미 산1,115충북 제천시, 경북 문경시월악산국립공원 돌탑과 기념비석
38. 포 암 산 962충북 괴산시, 경북 문경시 월악산국립공원 돌탑과 기념비석
39. 마 패 봉 927충북 괴산시, 경북 문경시 월악산국립공원 이정표, 기념비석
40. 조 령 산 1,025충북 괴산시, 경북 문경시문경새재도립공원, 표지석, 돌탑
41. 백 화 산 1,064충북 괴산시, 경북 문경시정상석
42. 희 양 산 998충북 괴산시, 경북 문경시바위지대
43. 장 성 봉 915경북 문경시정상 표시석
44. 대 야 산 931충북 괴산군, 경북 문경시기념비석, 이정표
45. 조 항 산 951충북 괴산군, 경북 문경시정상석, 정상 표시목
46. 청 화 산 970충북 괴산군, 경북 문경시, 상주시정상석, 이정표
47. 문 장 대1,054 충북 보은군, 경북 상주시속리산국립공원 통신중계소, 이정표, 헬기장,
48. 천 황 봉1,058 충북 보은군, 경북 상주시기념비석, 국립공원안내판, 한남금북정맥분기점
49. 형 제 봉 832충북 보은군, 경북 상주시속리산국립공원 정상표시목
50. 봉 황 산 741경북 상주시정상표시석, 삼각점
51. 백 학 산 615경북 상주시정상표시석
52. 국 수 봉 763충북 영동군, 경북 상주시정상표시석, 돌탑, 제단
53. 용 문 산 710충북 영동군, 경북 김천시삼각점, 헬기장
54. 금 산 370충북 영동군, 경북 김천시정상 북쪽 절벽, 절벽 밑 채석장
55. 눌 의 산 743충북 영동군, 경북 김천시헬기장, 삼각점
56. 가 성 산 710충북 영동군, 경북 김천시정상 시멘트포장, 정상표시석
57. 황 악 산 1,111충북 영동군, 경북 김천시정상기념비석
58. 삼 도 봉 1,177충북영동군, 전북무주군, 경북김천시대형 기념탑, 헬기장, 이정표
59, 대 덕 산 1,290전북 무주군, 경북 김천시정상표시석, 헬기장
60. 삼 봉 산 1,254전북 무주군, 경남 거창군덕유삼봉 1254 기념비석
61. 무 룡 산 1,492전북 무주군, 경남 거창군표지석, 덕유산국립공원 헬기장, 이정표
62. 남덕유산 1,507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 거창군표지석, 덕유산국립공원 이정표
63. 남덕유서봉 1,500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덕유산국립공원 이정표, 방위각, 헬기장
64. 깃 대 봉 1,015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스텐레스 표시판, 삼각점
65. 영 취 산 1,076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스텐레스 표시판, 호남정맥의 분기점
66. 백 운 산 1,279전북 장수군, 경남 함양군헬기장, 기념비석
67. 월 경 산 980경남 함양군, 전북 장수군
68. 봉 화 산 920전북 장수군, 남원시 스텐레스 표시판, 초지, 임도, 헬기장
69. 고 남 산 846전북 남원시스텐레스 표시판. 이동통신중계소, 헬기장, 도로
70. 수 정 봉 805전북 남원시삼각점
71. 고 리 봉 1,305전북 남원시지리산국립공원 태양열 연구시설, 이정표
72. 만 복 대 1,436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지리산국립공원 돌탑, 고산초지, 이정표
73. 종 석 대 1,356전남 구례군바위지대
74. 노 고 단 1,507전남 구례군지리산국립공원 KBS중계소, 산장, 야영장
75. 반 야 봉 1,732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지리산국립공원
76. 삼 도 봉 1,499전북남원시, 전남구레군, 경남하동군지리산국립공원 이정표
77. 천 왕 봉 1,915경남 함양군, 산청군 지리산국립공원 기념비석, 이정표, 헬기장

[ 백두대간 주요 고개 ]

01. 진 부 령 520고성군 간성읍-인제군 북면2차선포장, 46번국도, 슈퍼, 간성읍 홀리출장소있음
02. 미 시 령 767고성군 토성면-인제군 북면2차선포장, 466번지방도, 휴게소
03. 한 계 령 935인제군 북면-양양군 서면 2차선포장, 44번국도, 휴게소
04. 조 침 령 770인제군 기린면-양양군 서면비포장도로, 노폭 7m
05. 구 룡 령 1,013 양양군 서면-홍천군 내면2차선포장, 56번국도, 휴게소
06. 진 고 개 700강릉시 연곡면-평창군 도암면 2차선포장, 6번국도, 휴게소,
07. 대 관 령 832강릉시 성산면-평창군 도암면 구영동고속도로, 휴게소, 기상관측소
08. 닭 목 재 706강릉시 왕산면 대기리-왕산리 2차선포장, 137번지방도, 산신각, 농업용창고
09. 삽 당 령 660강릉시 왕산면 송현리-강릉시 2차선포장, 35번국도, 간이포장마차
10. 백 복 령 780정성군 임계면-동해시 2차선포장, 42번국도, 간이포장마차, 철탑, 통신중계탑
11. 댓 재 810삼척시 미로면-하장면 2차선포장, 424번지방도, 소공원, 간이매점
12. 건 의 령 860삼척시 도계읍-하장면 비포장도로 노폭 10m, 35번도로 연결, 산신각
13. 피 재 920태백시 적각동-황지동 2차선포장, 35번국도, 소공원, 간이매점
14. 두문동재 1,268 태백시 화전동-정선군 고한읍 2차선포장, 38번국도, 간이휴게소
15. 만 항 재 1,330 태백시 화전동-정선군 고한읍 2차선포장, 414번지방도, 국내최고표고도로, 간이매점
16. 화 방 재 950영월군 상동읍-태백시 혈동2차선포장, 31번국도, 휴게소
17. 곰넘이재 1,103참새골입구이정표, 비포장임도
18. 금정임도 1,074봉화군 춘양면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19. 우구치임도 973 봉화군 춘양면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7m
20. 도래기재 734 봉화군 춘양면봉화/영월 2차선포장, 88번국도
21. 박 달 령 981 봉화군 물야면-춘양면비포장도로, 노폭 8m, 헬기장, 산신각
22. 마 구 령 810 영주시 부석면 임곡리/남대리비포장도로, 노폭 7m, 935번 도로 연결
23. 고 치 령 770 영주시 단산면 좌석리/마락리비포장도로, 헬기장, 산신각, 931번 도로 연결
24. 죽 령 689 영주시 풍기읍-단양군 대강면2차선포장도로, 5번국도, 휴게소
25. 저 수 재 850 단양군 대강면-영주시 상리면2차선포장도로, 927번지방도, 휴게소, 주유소
26. 벌 재 재 620 문경시 동로면 2차선포장도로, 33번국도, 월악산국립공원
27. 하 늘 재 525 문경시 문경읍-충주시 상모면포장도로, 901/507번 도로 연결, 노폭10m,
28. 조 령 643 문경시 문경읍-괴산군 영풍면문경새재 도립공원, 차량통행불가
29. 이 화 령 538 문경시 문경읍-괴산군 영풍면2차선포장도로, 3번국도, 휴게소, 지하터널공사
30. 버리미기재 482 문경시 가은읍2차선포장도로, 913번지방도
31. 불란치재 540 문경시 가은읍 소로길, 차량통행불가
32. 눌 재 380 상주시 화북면2차선포장도로, 992번지방도, 산신각, 농업용 대형창고
33. 밤 티 재 480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중벌리2차선포장도로, 32번,49번연결
34. 비 재 331 상주시 화남면포장도로, 49번 연결
35. 화 령 재 320 상주시 화서면2차선포장도로, 25번국도, 공원 및 정자있음
36. 신의터재 280 상주시 화동면2차선포장도로, 49번,901번 연결, 소공원
37. 지 기 재 260 상주시 모동면2차선포장도로, 901번지방도 연결
38. 백학산임도 409 상주시 모동면 비포장도로, 임업도로, 노폭 10m
39. 윗왕실임도 400 상주시 공성면-외남면비포장도로, 노폭 10m
40. 개 터 재 373 상주시 효곡리-옥산 경운기길, 마을까지는 시멘트포장
41. 회 룡 재 340 상주시 모동면-공성면비포장, 마을까지는 시멘트포장
42. 이영도목장 417 상주시 공성면 봉산리농업도로, 콘크리트포장, 노폭 10m
43. 큰 재 350 상주시 모동면-선산 68번 국도, 옥산초등학교인성분교, 백두대간 교육센타
44. 작점고개 340 영동군 추풍령면-김천 어순면 2차선포장도로, 지방도
45. 추 풍 령 220 영동군-김천시4번국도, 경부고속도로, 경부선철도
46. 궤 방 령 310 영동군 매곡면-김천시 봉산면2차선포장, 906(977)번지방도
47. 우 두 령 720 영동군 상촌면-김천시 부항면2차선포장, 901(579)번지방도, 매일유업 목장
48. 덕 산 재 660 무주군 무풍면-김천시 대덕면2차선포장도로, 30번국도,
49. 소사고개 660 무주군 무풍면-거창군 고제면2차선포장도로, 1089번지방도, 간이매점
50. 신 풍 령 930 무주군 무풍면-거창군 고제면2차선포장도로, 37번국도 (727번지방도), 휴게소
51. 육 십 령 700 장수군 장계면-함양군 서상면2차선포장도로, 26번국도, 휴게소, 주차장
52. 중 재 652 장수군 번암면-함양군 백전면비포장도로, 742번도로 연결, 노폭 6m
53. 봉화산임도 920 장수군 번암면-아영면임업도로, 노폭 7m
54. 치 재 662 장수군 번암면-아영면왼쪽100m아래 포장시멘트도로
55. 복성이재 563 장수군 번암면-아영면2차선포장도
56. 사 치 재 540 남원시 아영면-장수군 번암면88고속도로, 743번지방도, 휴게소
57. 유 치 재 480 장수군 번암면-남원시 운봉면2차선포장도로, 743번지방도. 매요리마을
58. 여 원 재 470 남원 / 함양4차선포장도로, 24번국도, 마을
59. 고 기 리 500 남원시 주천면-운봉면2차선포장도로, 60번/737번지방도, 휴게소
60. 정 령 치 1,172 남원시 주천면-산내면 2차선포장도로, 729(737)번지방도
61. 성 삼 재 1,093 구례군 산동면 2차선포장도로, 861번지방도, 휴게소
62. 벽 소 령 1,380 함양군 마천면-하동군 화개면군사도로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상체질과 등산건강  (2) 2008.07.03
백두대간 길잡이  (0) 2008.04.30
백두대간 자료실  (0) 2008.04.29
산경도 및 1대간 9정맥  (0) 2008.04.21
산경표에 나타난 우리산줄기  (0) 200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