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 행 지 : 금성산(530m) / 경북 의성군
2. 산행일자 : 2025년 03월 09일(일) / 맑음, 미세먼지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주차장-금성산성-용문바위-병마훈련장-조문암 전망대-금성산-비봉산 갈림길-용문바위 갈림길-용문지-주차장(도상거리 약 4.5km)
5. 산행시간 : 2시간 00분(13:40~15:40)
6. 산행안내도
※ 금성산과 비봉산(2008.01.19) : https://kim22300.tistory.com/971
내고향 의성 금성산,비봉산 산행
* 산불감시초소에서 본 비봉산 601봉의 풍경1. 산 행 지 : 금성산(531m)~비봉산(671m) / 경북 의성군2. 산행일자 : 2008년 01월 19일(토) / 맑음3. 산 행 자 : 홀로4. 산행경로 : 정자골주차장 - 금성산성 - 병
kim22300.tistory.com
※ 금성산과 비봉산(2010.01.16) : https://kim22300.tistory.com/m/525
아들과 함께 고향 금성산,비봉산 산행
* 봉황이 날아가고 있는 형상이라 해서 비봉이라 이름 붙여진 비봉산 정상의 겨울경치1. 산 행 지 : 금성산(530m)-비봉산(671m) / 경북 의성군2. 산행일자 : 2010년 01월 16일(토) / 맑음3. 산 행 자 : 아들
kim22300.tistory.com
※ 금성산과 비봉산(2011.04.03) : https://kim22300.tistory.com/204
금성산과 비봉산 산행
* 비봉산 제3봉(여인의 턱) 의 천길 낭떠러지 우측 끝단에 절묘하게 걸쳐진 남근석과 소나무의 조화스러운 풍경 1. 산 행 지 : 금성산(530m),비봉산(671m) / 경북 의성군 2. 산행일자 : 2011년 04월 03일(
kim22300.tistory.com
7. 산 행 기
※ 오늘은 괜히 생각이 많이 나네요. 설날 때 뵙지 못해 근 한 달이 지나서야 부모님께 인사드립니다. 산소 인근에서도 보이는 금성산과 비봉산, 그동안 자주 산행한 곳으로 오늘은 예전에 보지 못했던 용문바위(굴)가 있어 금성산만 오르려고 합니다(등산안내도 1코스)
금성산~비봉산 연계산행은 3회이며 금성산과 비봉산 단일산행은 몇차례 방문한 고향의 산이다
식생은 대부분 끼 작은 토종 소나무다. 곳곳에 소나무 뿌리와 함께 암반이 드러나 있다. 척박한 땅에 뿌리내린 소나무의 기운이 맑은 곳이다
조문국 시절에 세운 것이라고 추정되는 높이 4m, 넓이 2∼4m의 금성산성(金城山城)이 있는데, 조선시대에 유정(惟政)이 왜군과 싸우던 곳이기도 하다. 산속에 흩어져 있는 삼국시대의 고분 200여 기는 경북 도기념물 제128호로 지정되었다
금방 앞으로 쏟아질 듯 압도적인 높이와 규모의 용문바위다. 거대한 바위 절벽에 하늘나라로 통하는 듯 널찍한 돌문이 굳세게 닫혀 있다. 닫힌 문의 위쪽으로 용이 승천했다는 바위 구멍이 하늘에 떠 있다. 용이 뚫고 간 저 구멍을 용문이라 했겠지만 수직 절벽에 굳게 닫힌 하늘문? 용문바위는 격렬한 화산 활동의 남긴 자연의 걸작이다.
금성산(531m)은 가마와 비슷하다고 하여 가마산이라고도 부른다. 내륙분지에 솟아 있는 조그마한 산으로 의성군의 명산으로 꼽힌다. 사화산으로 한반도 최초의 화산이다. 백악기에 화산이 폭발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 때문에 정상에 1,000여 평의 평지가 남아 있다
비봉산 가는길에서 우측 용문지로 하산하니 초반은 토종 소나무가 우거진 산사면 길이지만 이내 잔돌이 깔린 급 내리막이 이어지는 길이다
경북 의성 금성산은 멀리서 보아도 기품 있고 당당하다. 금성산은 의성의 주산이자 진산이다. 삼한시대 조문국의 유적지로 중생대 백악기 화산 활동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칼데라 지형이다. 금성산은 의성군이 인증 신청한 ‘의성국가지질공원’의 12개 지질명소 중 상징성이 가장 큰 곳이다.
가마와 비슷하다고 하여 가마산이라고도 부른다. 내륙분지에 솟아 있는 조그마한 산으로, 의성군의 명산으로 꼽힌다. 사화산으로, 한반도 최초의 화산이다. 백악기에 화산이 폭발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 때문에 정상에 1,000여 평의 평지가 남아 있다.
마주 보고 있는 비봉산(飛鳳山:672m)과 함께 절경을 이루고, 울창하게 우거진 숲은 소나무·갈참나무·신갈나무 등의 수목이 주를 이룬다. 화산 폭발의 흔적인 정상의 평지는 천하제일의 명당자리로서 이곳에 조상묘를 쓰면 당대의 만석꾼이 되지만 주변 지역은 3년 동안 가뭄이 든다는 전설이 전해지는데, 지금도 주민들이 남몰래 땅을 파헤친 흔적이 곳곳에 있다.
'가족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미 금오산 언저리, 황금봉~굴등봉~효자봉 (2) | 2025.02.17 |
---|---|
경주 남산 옥룡암~일천바위~보리사/경북천년숲정원 (2) | 2024.11.18 |
고령 대가야 수목윈~금산(錦山) (0) | 2024.11.10 |
비운의 역사를 품고 있는 합천과 고령의 경계, 미숭산 (2) | 2024.10.27 |
합천 운석충돌구 환종주로 확인차 잠시 둘러본 대암산 & 단봉산 (3)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