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걷기여행길

TOUR BUS, 비슬산 참꽃군락지와 조화봉

반응형

※ 비슬산은 수없이 오른 지역 명산이다. 최근기록은 작년 3월에 눈(雪) 산행과 무더웠던 8월에는 축지법(tour bus)을 이용하여 억새산행과 올해 2월에 눈구경, 오늘도 축지법(tour bus)을 이용하여 혹시나 꽃구경 할겸 참꽃 군락지에  올라가 봅니다

※ 공영주차장> tour bus > 대견사 회차지~대견사~대견봉~제1전망대~전망데크/무장애 데크로드~조화봉~대견사 회차지> tour bus> 공영주차장

※ 비슬산 눈 산행(2023.04.02) : https://kim22300.tistory.com/2388

근교 눈(雪)산행 비슬산 도성암 코스(유가사~도성암~천왕봉)

1. 산 행 지 : 비슬산(1,084m) / 대구광역시 2. 산행일자 : 2024년 03월 02일(토) / 맑음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유가사-수도암-도성암-초곡산성 갈림길-청룡산/앞산 갈림길-1054봉-천왕봉>1

kim22300.tistory.com

※ 비슬산 억새산행(2024.08.30) : https://kim22300.tistory.com/501776

억새 산행지, 비슬산 천왕봉

1. 산 행 지 : 비슬산(1,084m) / 대구광역시, 경북 청도군2. 산행일자 : 2024년 08월 30일(금) / 맑음3. 산 행 자 : 홀로4. 산행경로 : 공영주차장> tour bus> 대견사 주차장-월광봉-마령재-헐티재 갈림길-천왕

kim22300.tistory.com

테크노폴리스에서 비슬산 가는길
공영주차장에 있었던 TOUR BUS 매표소가 휴양림 입구로 이전 되었네요
겨울철과 다른 버스시간표
TOUR BUS 회차지
대견사 회차지에서 바라본 테크노폴리스와 낙동강, 가야산이 희미하게 보인다
먼저 대견사와 대견봉으로 ~~~
대견사
부처바위와 대견사 삼층석탑
관기봉과 부처바위
대견사 대견보궁

창건자는 미상이나, 신라 흥덕왕 때 창건된 사찰이라고 전한다. 전설로는 당문종(文宗)이 절을 지을 곳을 찾고 있었는데 하루는 낯을 씻으려고 떠놓은 대야의 물에 아주 아름다운 경관이 나타났다. 이곳이 절을 지을 곳이라 생각한 문종은 사신을 파견하여 찾게 하였다. 결국 중국에서는 찾을 수 없게 되자 신라로 사람을 보내어 찾아낸 곳이 이 절터이다. 이 터가 대국(大國)에서 보였던 절터라 하여 절을 창건한 뒤 대견사라 했다고 한다

삼층석탑

암벽 위에 2층 기단을 구축하고 삼층 탑신을 올렸는데, 전체적으로 완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견사지 삼층석탑은 산자연 정상의 암반에 건립되어 넓은 시계가 확보된 점으로 보아 명산에 절을 세우면 국운이 흥한다는 불교 신앙에 따라 건립되었으며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통일 신라 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화봉
석검봉(989.9m)과 관기봉
마애불과 암릉
마애불

대견사 마애불은 자연 동굴 입구에 음각(陰刻)으로 새겨져 있다. 선각의 마모가 심하여 마애불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렵고 따라서 조성 시기도 추정이 어렵다. 다만 대견사 창건과 비슷한 시기인 흥덕왕(826∼836) 때로 추정할 수 있는 정도이다.
자연 동굴 내부에는 10여 명이 앉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데 참선을 하던 곳으로 추정되며, 동굴 입구 머리맡 바위 전면에는 음각의 선각 불상(線刻佛像)이 새겨져 있다.

참꽃군락지와 대견봉으로 ~~~~
참꽃군락지와 천왕봉
형제바위와 상감모자바위
대견봉
대견봉(1,034m)
영불사지 하산길은 🚫.
조화봉
석검봉과 관기봉
관기봉과 비들산 능선
테크노폴리스와 낙동강, 그리고 가야산
초곡산성과 낙동강 넘어로 보이는 가야산과 금오산
수성골과 천왕봉
참꽃 군락지와 월광봉과 조화봉
천왕봉
꽃망울이 움추리고 있네요
재1전망대
피어난 꽃이 하나도 없네요
창고사진(2014.04.08)
창고사진(2018.04.02)
데크전망대
참꽃군락지와 대견봉, 천왕봉, 월광봉
천왕봉~월광봉과 최정산, 우미산
조화봉 강우레이더 관측소
무장애 데크로드
조화봉
환경부 낙동강 홍수통제소 비슬산 강우레이더 관측소
비슬교와 강우레이더 관측소
톱(칼)바위
해맞이 제단
조화봉

조화봉(照華峰)은 " 비슬산(琵瑟山) 아래 흘러가는 낙동강 물이 훤히 내려다보이는 이곳 봉우리에 절을 지을 당시 당나라 사람들이 인근의 봉우리에서 고국을 그리워하며 바라보니 중국의 모습이 보였다고 한다" 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 봉우리에 ' 비칠 조(照)' 에, '아름다울 화(華), 즉 조화봉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전해진다

환경부 낙동강 홍수통제소 비슬산 강우레이더 관측소
조화봉 남쪽에 자리한 전망터에 올라가 봅니다
청도 각북면과 우미산, 삼성산
풍각면과 성곡지
석검봉과 관기봉
관기봉과 비들산 능선
청룡산, 앞산 주암산, 최정산
천왕봉 월광봉
비슬교와 대견봉
대견사 회차지와 비슬산 강우레이더 관측소
집으로 가는길, 대견봉

경북지역 산불로 인해 전국적인 애도와 위로의 분위기에 공감하고 또한 산불 방지에 총력을 기하고자 제29회 비슬산 참꽃문화제를 부득이 전면 취소합을 알려드립니다.

비슬산(琵瑟山)은 대구 달성군과 경북 청도군, 경남 창녕군의 사이에 있는 높이 1,084m의 산이다. 1986년 2월 22일에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신 증동국여지승람'과 '달성 군 지'에는 비슬산을 일명 포산(苞山, 수목에 덮여 있는 산)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유가사사적(瑜伽寺寺蹟)'에는 산의 모습이 거문고와 같아서 비슬산(琵瑟山)이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