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 행 지 : 팔공산 둘레길 8구간(윗산당마을~팔공산 석굴암) / 경북 칠곡군, 군위군
2. 산행일자 : 2023년 04월 09일(일) / 맑음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윗산당 마을-홍천뢰 장군묘-복곡지-장내삼 재배지-묵은터(용곡)-용추리 마을회관-태안사-쉰재(방태골재)-각곡마을-삼존석굴-석굴암 휴게소(안내도 기준 9.5km)
5. 산행시간 : 3시간 10분(11:00~14:10)
6. 산행안내도
* 1차 8구간(2019.03.24) : https://kim22300.tistory.com/1495
팔공산 둘레길 8구간
1. 산 행 지 : 팔공산 둘레길 8구간(윗산당 마을-팔공산 석굴암) / 경북 칠곡군, 군위군 2. 산행일자 : 2019년 03월 24일(일) / 맑음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윗산당 마을-복곡지-응추리-
kim22300.tistory.com
7. 산 행 기
성묘 관계로 한주 건너 뛰고 오늘 8구간 여정을 시작한다.
교통편이 불편한 관계로 삼존석굴 주차장에서 윗산당 마을까지 부계개인택시(054-382-2055, 010-2360-6612)를 이용. 버스를 이용해도 가능하나 효율성을 고려하면 2만원의 택시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다(2인 이용 버스비 약 13,000원, 버스 환승시간 포함 8시간 소요)
1592년(선조 25년)공이 29세에 임진왜란을 당하니 조정의 방벽이 무너지고 조국의 운명이 바람앞에 선 등불과 같았다. 우국정신이 지극한 장군은 국가의 위기를 구하고자 하늘에 맹세하고 그 해 4월 19일 율리에서 의병을 일으키니 하룻동안에 300여 명이나 모이었다. 한편 가까운 마을에 격문(檄文)을 보내어 장사(壯士)를 모아 신령으로 올라온 왜적을 맞아 출진(出陣) 하였다. 장군은 적병 30여 명의 목을 베고 달아나는 적을 크게 무찌르니 각 처의 의병이 이 소문을 듣고 모여들어 그 수가 1500여 명에 이르렀다. 같은 해 5월 6일 대동(大同:영천지방)에서 왜적 우두머리급 다섯을 베고 또 한천(漢川:영천지방)에서도 적 우두머리 일곱을 베니 군용(軍容)이 크게 떨치었다고 함(백과사전)
조선시대의 서원이며 부림 홍씨의 세거지로서 고려 말의 문신 홍노(洪魯, 1366~1392년), 조선 전기의 문신 홍귀달(洪貴達, 1438~1504년)과 홍언충(洪彦忠, 1473~1508년)을 배향하고 있다. 양산서원은1786년(정조 10)에 설립한 지방 교육을 담당하고 성현을 받들기 위하여 창건하였다고 한다
팔공산 석굴암은 군위 아미타여래 삼존 석굴(軍威 阿彌陀如來 三尊石窟, 국보 109호) 혹은 제2 석굴암이라고도 한다.
이 삼존 석굴은 신라 소지왕 15년(493) 극달 화상이 창건하였다. 깎아지른 듯한 절벽의 자연동굴에 아미타불과 대세지보살, 관음보살이 온화한 자태를 드러내고 있다.
동굴은 지상 20m 높이에 위치하며 입구는 폭 4.25m, 길이 4.3m로, 바닥은 평면이고 네모 반듯한 형상으로 천장은 한가운데가 제일 높고 사방 주위는 차차 낮아지는 하늘 형상이다. 1960년대 말까지 세인들의 눈에 띄지 않았다가 1970년대 초 학자들에 의해 경주 석굴암 보다 1세기 이상 일찍 창건된 것으로 그 모태임이 밝혀져 세계적 문화재로서의 가치성을 인정받았다.
* 8구간은 시간대를 잘 조합하면 버스를 이용해도 가능하다
* 팔공산 둘레길 자료
'팔공산 둘레길' 16구간 총 95km…시·종점 일치하는 '순환형'
팔공산 둘레길은 걸으면서 다채로운 풍경과 정겨운 시골 정취, 유서깊은 사찰, 각종 역사문화 자원 등을 눈과 귀로 즐길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갓바위 만남의 광장을 시점과 종점으로 하는 순환형 트레킹 노선인 팔공산 둘레길을 좀 더 살펴보자.
1구간은 경사도가 낮아 걷기 편한 숲길과 한 숨 쉬어갈 수 있는 바람고개가 있다. 하동 정씨 선산유적지 통과 후 소나무 숲으로 이뤄진 구릉지를 지나면 동화천변을 따라 길게 펼쳐진 마을경관과 팔공산 능선을 조망할 수 있다.
2구간은 묵연(默然·잠잠히 말이 없다) 길이 있어 조용한 길을 걸으며 머릿속을 비워 진정한 나를 찾는 기회를 제공한다. 묵연길은 달성 서씨 중심재에 거주하는 박정석 씨가 2년 동안 직접 닦은 소나무 숲길로 알려져 있다. 구간 중반부 사자바위 위에 올라서면 팔공산 주능선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3~5구간은 용수동 및 내동의 여러 자연부락을 지나는 구간이다. 덕곡마을, 송정마을, 당정마을 등에서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생활을 볼 수 있다. 이들 마을에는 서낭당, 돌담길, 비보석축 등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6, 8구간은 가산산성 진남문, 팔공산 석굴암, 한밤마을 등 역사·문화자원와 전통 산촌마을을 살펴볼 수 있는 구간이다. 양지마을에서 음지마을 소나무 숲길 방향으로 가다보면 가산의 용바위·유선대·삼층이 바위가 차례대로 펼쳐진 산지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
7구간은 팔공산 대표 역사자원인 가산산성을 거치는 구간. 가산산성 칠곡도호부 터에서 과거 산성 생활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가산바위에 올라서면 남쪽으로 대구시내와 비슬산, 청룡산, 주암산 등이 내려다보이고 서쪽으로는 합천 가야산, 구미 금오산, 백운산을 조망할 수 있다.
10구간은 가호리 사과농장, 치산마을의 산나물·미나리 체험장 등이 있어 팔공산 산촌마을의 경제활동을 살펴볼 수 있다. 백학농장을 통과 후 왼쪽으로 화산, 투구봉, 팔공산 정상이 순서대로 나타난다.
11구간은 치산관광지에서 부귀사로 넘어가면서 폐은광촌, 고라니와 멧돼지 발자국, 이끼 낀 계곡과 소규모 계단식 폭포 등 자연을 즐길 수 있다. 귀천서원은 충의공 백운재 권응수 장군을 배향한 서원으로 시루봉을 조망할 수 있다.
12~14구간은 부귀사, 거조암(삼층석탑, 영산전, 영산루), 운부암, 은해사 등 팔공산 유수 사찰이 산재해 부처님 품을 느낄 수 있다. 은해사 천성암에는 1천300년 된 천도복숭아가 있고 나무 옆 바위에 올라서면 경산 대한마을 경관이 한 눈에 들어온다.
15, 16구간은 팔공산 둘레길 중 가장 난도가 높다. 강한 체력과 정신력이 필요하다. 숲길 비중이 90%가량 되는 구간으로 온전한 수목환경에서 걷기 좋은 길이다.
팔공산 둘레길은 애초 108.5㎞ 길이로 계획했지만 토지주와의 협의 등의 과정에서 변경돼 지금은 약 95㎞로 줄었다.또 기본계획 단계에서 팔공문화원을 시점과 종점으로 설정했지만 실제 조성 과정에서 갓바위 만남의 광장으로 변경됐다. 만남의 광장에는 팔공산둘레길종합안내센터가 있다(글:영남일보)
* 팔공산 둘레길 : https://www.daegu.go.kr/env/index.do?menu_id=00936020
팔공산 둘레길
팔공산 둘레길 | 대구광역시 분야별 환경
www.daegu.go.kr
'팔공산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둘레길 10구간(2차) (0) | 2023.04.17 |
---|---|
팔공산 둘레길 9구간(2차) (0) | 2023.04.17 |
팔공산 둘레길 7구간(2차) (0) | 2023.03.27 |
팔공산 둘레길 6구간(2차) (0) | 2023.03.24 |
팔공산 둘레길 5구간(2차) (3)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