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 행 지 : 제1구간 화원역사탐방로길(남평문씨본리세거지~옥포 기세마을) / 대구광역시
2. 산행일자 : 2023년 02월 04일(토) / 맑음, 미세먼지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남평문씨본리세거지-인흥서원-298봉(까치봉)-본리임도-기내미재-함박산-기내미재 전망대-함박산전망대-446봉(작약봉)-소계정-기세마을(산행안내도 기준 8.0km)
5. 산행시간 : 3시간 00분(13:00~16:00)
6. 산행안내도
* 1차 1구간(2016.09.18) : https://kim22300.tistory.com/1278
비슬산 둘레길 제1구간
1. 산 행 지 : 비슬산 둘레길 제1구간(화원 역사탐방로길) 2. 산행일자 : 2016년 9월 18일(일) / 흐림, 비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남평문씨본리세거지-인흥서원-소나무숲길-본리임도-기
kim22300.tistory.com
7. 산 행 기
개통 초창기 6~7년전 지식 및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어설프게 시작한 대구근교 둘레길(대구둘레길, 비슬산 둘레길, 팔공산 둘레길, 대구올레, 한티가는길)을 다시 시작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비슬산 둘레길 1차 TOUR(2016.09.18~2016.10.30)에 이어 2차 TOUR 를 시작합니다
남평문씨 본리세거지는1995년 대구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1동. 11,701㎡. 약 300년 전에 남평문씨인 문재철(文在徹, 監正公)이 지금의 대구광역시 서구 성당동 부근에 입향(入鄕), 정착하였다. 그리고 그의 5대손 문달규(文達奎)가 이곳으로 분가(分家), 정주(定住)하였다. 이곳은 남평문씨가 누대에 세거(世居)해온 전형적인 동성촌락(同姓村落)이다. 이 마을은 조선 말기의 양반가옥 9동과 별당(別堂)양식의 정자 2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물들은 건축연대가 200년 미만이나 전통적인 영남지방 양반가옥의 정미(精微)한 고졸미(古拙美)를 갖추고 있다.
인흥서원은1866년(고종 3)에 추황(秋篁, 1198~1259), 추적(秋適, 1246~1317), 추유(秋濡, 1345~1404), 추수경(秋水鏡, 1530~1600) 등 추계추씨 4현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1938년에 복원하여 매년 음력 3월 중정일과 10월 3일에 춘추 향사를 봉행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소계정(小溪亭)은 석재준(1866~1945)의 공을 기리기 위해 1923년 제자들이 지은 것으로, 호를 따라 소계정이라 부른다. 석재준은 학당을 열어 문하생들이 오랑캐의 풍속에 물들지 않게 하고 선비정신을 일깨워준 인물이다. 건물 규모는 앞면 3칸 옆면 1칸 반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 제 1구간 화원역사탐방로길(남평문씨본리세거지~기세마을)
* 비슬산 둘레길 : http://www.dssiseol.or.kr/gil/pages/main/
비슬산둘레길
비슬산둘레길
www.dssiseol.or.kr
'비슬산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슬산 둘레길 제3구간(2차) (0) | 2023.02.12 |
---|---|
비슬산 둘레길 제2구간(2차) (0) | 2023.02.06 |
비슬산 둘레길 제11구간 (0) | 2016.11.01 |
비슬산 둘레길 제7구간 (0) | 2016.11.01 |
비슬산 둘레길 제6구간 (2) |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