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 행 지 : 대곡역~옥연지 송해공원 / 대구광역시
2. 산행일자 : 2025년 02월 16일(일) / 흐림> 맑음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대곡역-대구수목원-남평문씨 본리세거지-인흥서원-본리임도-기내미재-함박산-함박산전망대-소계정-옥연지 송해공원(안내도 기준 약 12.0km)
5. 산행시간 : 4시간 00분(11:00~15:00)
6. 산행안내도
7. 산 행 기
2012.12월에 이어 약 12년 만에 다시 걸어보는 달성보 녹색길, 달서구 대곡역에서 시작하여 화원읍~옥포읍~논공읍에 이르기까지 조성된 숲 속 도보길이며 오늘은 대곡역에서~옥연지(송해공원)까지 약 12km 정도 걸어 봅니다
지하철 1호선 대곡역이 달성보 녹색길 시점이다. 유천네거리와 대구수목원 인근 삼거리를 지나 수목원 입구까지의 대로변 경로를 대신해 한적하고 의미가 있는 대구합동청사 방향으로 진행한다
자연과 순환, 작가명 : 박영우
직선과 곡선, 평면과 입체가 조화롭게 만나서 새로운 형태를 잉태하듯이 자연의 순환 속에서 식물이 꽃을 피우듯 인간도 예술과 더불어 행복을 추구하는 바람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에 있는 수목원이며 전국 최초로 쓰레기 매립장을 수목원으로 조성하여 2002년 5월 개원하였으며, 1750종 35만 본의 식물을 전시하고 있다. 쓰레기 매립장을 생태적 식물공간으로 복원하여 시민들의 자연탐구와 식물 학습공간으로 이용하고, 향토 식물자원 보전 및 종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기지로 제공하고자 조성하였다. 1998년 12월 조성공사에 착수하여 2002년 5월 개원하였다.
이산화규소(SiO ,)가 땅속에 묻힌나무의조직 속에 침투하여 굳어진 화석으로, 나무의 원래 형태와 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어 고대 식물과 당시의 기후 등을 연구하는데 활용한다고 한다
남평문 씨 본리세거지는 1995년 대구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약 300년 전에 남평문 씨인 문재철(文在徹, 監正公)이 지금의 대구광역시 서구 성당동 부근에 입향(入鄕), 정착하였어요 그의 5대손 문달규(文達奎)가 이곳으로 분가(分家), 정주(定住)하였다. 이곳은 남평문 씨가 누대에 세거(世居)해온 전형적인 동성촌락(同姓村落)이다. 이 마을은 조선 말기의 양반가옥 9동과 별당(別堂) 양식의 정자 2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물들은 건축연대가 200년 미만이나 전통적인 영남지방 양반가옥의 정미(精微)한 고졸미(古拙美)를 갖추고 있다.
인흥서원은 1866년(고종 3)에 추황(秋篁, 1198~1259), 추적(秋適, 1246~1317), 추유(秋濡, 1345~1404), 추수경(秋水鏡, 1530~1600) 등 추계추 씨 4현을 제향 하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1938년에 복원하여 매년 음력 3월 중정일과 10월 3일에 춘추 향사를 봉행하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어느 곳으로 가도 비슬산 둘레길이다. 까치봉으로 갈려면 직진길, 전망을 즐기려면 우측으로 ~~~~
귀네미(정감록에서는 무릉도원으로 가는 길목으로 사용된다)에서 따왔다는 설이 유력하다고 하며 그게 귀 넘 이를 거쳐 기내미로 변했다는 기내미재
소계정(小溪亭)은 석재준(1866~1945)의 공을 기리기 위해 1923년 제자들이 지은 것으로, 호를 따라 소계정이라 부른다. 석재준은 학당을 열어 문하생들이 오랑캐의 풍속에 물들지 않게 하고 선비정신을 일깨워준 인물이다. 건물 규모는 앞면 3칸 옆면 1칸 반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달성보 녹색길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역에서 달성군 화원읍·옥포읍·논공읍에 이르기까지 조성된 숲 속 도보길이며 인근 주민들에게 볼거리를 갖춘 자연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도보길을 제공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에 개장하였다.
대곡역에서 출발하며, 대구 수목원을 거쳐 화원읍의 남평 문 씨 본리 세거지, 까치봉, 기내미재, 함박산을 지난다. 함박산 아래 기내미재는 화원읍 명곡리에서 옥포읍 반송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옥포읍에 이르러 소계정(小溪亭), 옥연지(玉淵池), 송촌리를 지나 달성군 논공읍에 들어서면 노이리와 하리를 거쳐 낙동강 달성보에 도착한다. 편도 22㎞에 10시간이 걸리는 코스로 알려져 있으나 비슬산에서 북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의 산길을 넘어가는 힘든 코스가 많아 난이도가 상당하며, 초보자라면 시간이 훨씬 많이 걸린다. 잠시 쉬어가는 곳은 인흥 마을 쉼터, 기내미재, 송촌 쉼터, 갈실 쉼터(노이리)가 있다
'대구지역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연지(송해공원)와 도원지(월광수변공원) (0) | 2025.02.25 |
---|---|
달성보 녹색길② (옥연지~달성보) (0) | 2025.02.23 |
학이 날개를 펴고 품은 듯, 포근한 학산 둘레길 (0) | 2025.02.20 |
근교 수성구 천을산 숲길과 우산 (0) | 2025.01.30 |
근교 수성구 범어공원 순환산책로(둘레길)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