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 행 지 : 다락길 / 경북 고령군
2. 산행일자 : 2024년 06월 16일(일) / 맑음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중화저수지-우륵공원-저전리-신리생태마을-다락길-중화임도-청금정> 중화임도-저전리-가야금 전수관-중화2리-우륵공원(안내도 기준 14.0km)(실제 12.4km)
5. 산행시간 : 3시간 30분(10:00~13:30)
6. 산행안내도
7. 산 행 기
대가야 둘레길 모든 구간이 시, 종점 구분이 없는 특이한 순환길이다. 안내도를 보면 진입구간도 여러 곳 있으며 5코스를 봐도 어리둥절!
① 우륵공원(중화저수지) ~
② 신리농촌체험마을 ~
③ 주산~미숭산 능선의 청금정 ~
연두색 노선 전부를 (+)하면 14km가 되는지 알 수는 없다
세 곳의 기점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데?
일명 낫질못이라고도 일컫는 중화저수지는 못 둘레가 십리가 넘는다고 한다. 6개리의 전답에 가뭄을 모르는 전천후 농업용수로 사용되고 있다
신리녹색농촌체험마을은 옥담·낫골·음지마 3개의 부락으로 형성된 웰빙 농촌 체험 마을이다.
신리마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농촌 문화, 농사 체험을 관광 상품화하려는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도시민들이 휴양은 물론 체험을 할 수 있는 체험관 등의 기반 시설을 설치하여 체험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되어 있다
허접한 안내도를 보면 이곳 어디쯤에 다락길 순환코스로 가는 표시가 있어야 하는데 청금정으로만 표기되어 있다
어라, 이정목을 보니 좌측길은 우륵공원 가는길, 우측으로는 청금정 가는길이라고 한다. 그럼 저아래에서 이곳으로 올라오는 길이 있다는 말씀인데
임도를 가로질러 청금정(聽琴亭)으로 간다. 악성 우륵이 대가야를 그리워하며 뜯는 가야금 소리를 듣는 길이라고 한다
아이러니한 대가야 둘레길, 구간마다 여기저기 가지를 치고 길이며 이번 5코스를 보아도 이곳 청금정 주차장이 포함되어 있으며 한술 더 떠 3코스 숲 속길까지 연결되어 있다. 그곳까지 진행해서 이곳까지 다시 올라 오라는 말씀인지 전혀 이해가 되질 않네요
내가 둘레길 노선을 그려도 좀 더 나을 듯합니다(주제넘은 소리)
당연히 작은 안내판이 숲풀에 가려져 직진하고 말았다. 안내도가 아닌 저 정도 크기의 이정목이 있어야 할 자리가 아닌가? 좌측으로 들어서야 청금정~다락길을 한바퀴 돌아야 하지만 숨어있는 안내판을 보지 못해 헛 웃슴 나올뿐!
솔향기가 가득한 산길, 바람이 불면 가슴을 뜯는 가야금 소리가 나뭇잎을 흔들고, 천년을 건너간 가야인들이 등짐 지고 넘나들던 무성한 여름 향기 짙은 능선길, 이름 모를 새들이 울 때마다 더욱 아름다워지는 산길을 무념으로 걷는다는 둘레길의 의미를 가져 봅니다
단순한 안내도에 오늘 이동한 경로를 그려 보았다.
저전리에서 다락길, 청금정 가는길에 작은 안내판이 숲속에 숨어 있었어 보이지 않았으며 신리마을에서 다락길 가는길에도 이정목이 없어 기형적인 안내도에 한번더 (+)한 걷기여행길이 되었네요
코스마다 진입하는 곳이 몆 군데 있어 다 돌이 보기에 의미가 없다고 생각됩니다(2, 3, 4코스)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쉼터와 식당등 편의성이 있는 곳에 시, 종점이 되어야 한다고 여겨지며
안내도를 바탕으로 주제넘게 대가야 둘레길을 그려 본다면
① 대가야 박물관~대가야 역사테마 관광지~고아동 벽화고분~회천변길~대가야교~대가야 수목윈~금산재/금산~대가야교~고령시외버스정류장
② 고령시외버스정류장~고령향교~충혼탑~주산성~우륵기념탑~쾌빈교~우륵박물관~가얏고마을~중화저수지(우륵공원)~가야금 전수관~신리농촌체험마을
③ 신리농촌체험마을~저전리 마을길~중화임도~청금정~숲속길-지산동 고분군~왕릉전시관/대가야박물관
'고령 대가야 둘레길, 이운순례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만대장경 이운순례길 1코스 (2) | 2024.07.29 |
---|---|
고령 대가야 둘레길 번외코스 (0) | 2024.06.17 |
고령 대가야 둘레길 4코스 (0) | 2024.06.17 |
고령 대가야 둘레길 3코스 (0) | 2024.06.17 |
고령 대가야 둘레길 2코스 (0) | 202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