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 행 지 : 숲속나들이길 4구간(대암산 약수터-안민약수터) / 경남 창원특례시
2. 산행일자 : 2024년 04월 06일(토) / 맑음>흐림, 미세먼지
3. 산 행 자 : 아들과 함께
4. 산행경로 : 대방나들목>대암산 약수터-대암산 평바위-용지봉 갈림길-창원터널 위-불모산 터널 위-성주사-성주사 계곡-항토곰숲길 갈림길-안민터널 위-안민약수터(안내도 기준 13.2km)
5. 산행시간 : 4시간 00분(11:00~15:00)
6. 산행안내도
* 2차 숲속나들이길 4구간(2018.02.24) : https://kim22300.tistory.com/1395
7. 산 행 기
숲속나들이길 4~5구간(25.2km)을 한번에 마무리하기에 거리가 다소 무리가 있어 4구간 종점인 안민약수터에 종료하기로 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출발해 봅니다
6년전에는 성주사를 경유하지 않고 성주수원지 둑방으로 진행하였는데 코스가 변경되었다
성주사는 한때는 웅신사(곰절)라고도 하였다.
임진왜란 때 절이 소실(1592 선조25년)되었는데 1604년 진경대사께서 절을 다시 중창을 하려고 불이난 옛날 절터에 목재를 쌓아 두었는데 곰들이 밤 사이에 지금의 자리로 목재를 옮겨 놓아 이를 부처님의 뜻으로 알고 현재의 자리에 절을 지었다는 설화가 있다.
여러 권속을 시주한 시주자 명단과 함께 ‘불모산 웅신사’라는 절 이름을 사용하고 있었슴이 발견되었으며 또한 조선시대의 지도에서도 웅신사로 표시되어 있다.
경남 창원시과 김해시 사이에 있는 불모산( 801.7m)의 서북쪽 골짜기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범어사 말사이다.성주사는 신라 42대 흥덕왕 2년(827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 한때는 웅신사(곰절)라고도 하였다고 한다
최근에는 성주사의 창건설에 대하여 불모산의 유래와 함께 가야시대 때에 창건이되었다는 설이 설득력있게 제기되고 있다. 불모산(佛母山)은 부처님의 어머니 산이란 뜻으로 옛날 가야시대 때 서역인 인도에서 아유타국에서 허왕옥과 사촌오빠인 장유화상이 가락국 해변에 도착하여 뒷날 허왕옥은 김수로왕의 부인이되고 같이 온 장유화상은 산으로 들어가 수행을 하면서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파(남방불교전래설)하였는데 이렇게 이 땅에 처음으로 불교를 잉태시킨 산이란 뜻으로 불모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성주사 항토곰숲길을 조성하다 보니 기존에 있던 스탬프함 위치가 이동되었다고 여겨진다. 이정목 표시를 수정하던지 아니면 스탬프함을 제자리에 이동하던지 해야할 듯 하네요
6년전에는 성주수원지에서 곧장 올라와 직진하였는데 코스가 변경되었다. 성주수원지 상류 갈림길에서 7시 방향으로 돌아서 진행한다
안민약수터에서는 버스 경로가 아니기 때문에 카카오 T를 이용하여 대방나들목으로~~
'창원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둘레길⑫ (진해드림로드 1구간)(2차) (0) | 2024.04.15 |
---|---|
창원둘레길⑪ (숲속나드리길 5구간)(2차) (2) | 2024.04.08 |
창원둘레길⑨ (숲속나드리길 3구간)(2차) (2) | 2024.04.01 |
창원둘레길⑧ (숲속나드리길 2구간)(2차) (0) | 2024.04.01 |
창원둘레길⑦ (숲속나드리길 1구간)(2차) (4)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