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십찰(華嚴十刹)의 하나로 세워진 해인사 대적광전과 삼층석탑(2010.02.15)
* 해인사 가는길의 겨울경치
모든 중생이 성불의 세계로 나아가는 길의 첫 관문을 상징하니 초발심을 나타낸다는 일주문
해인사 괴목
괴목
당간지주
돌이나 나무 등으로 조각되거나 탱화에 그려진 사천왕상이 모셔져 있는 천왕문이라고도 불리우는 봉황문
불이문에 해당하는 해탈문
구광루
삼층석탑
대장경을 모신 건물인 장경판전
대비로전
학사대
고운 최치원선생이 거문고를 튕기며 기울어가는 신라왕조에 대한 시름을 달래던 곳이다
성보박물관
홍류동계곡
농산정
해인사는 신라시대에 그 도도한 화엄종의 정신적인 기반을 확충하고 선양한다는 기치 아래,
이른 바 화엄십찰華嚴十刹의 하나로 세워진 가람이다.
화엄종의 근본 경전인 화엄경은 4세기 무렵에 중앙아시아에서 성립된 대승 경전의 최고봉으로서, 그 본디 이름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이며 동양문화의 정수라고 일컬어진다. 이 경전에 해인삼매海印三昧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해인사 이름은 바로 이 '해인삼매'에서 비롯되었다.
대한불교조계종은 한국 불교 26개 종단의 하나이며, 전국 3000여개의 사찰이 조계종으로 한국 불교 최대 종단이다.
조계종의 전국 사찰은 25교구로 구분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25교구 각 교구의 대표사찰을 본사(本寺)라고 하며,
그 본사에 속하는 사찰은 말사(末寺)라고 한다. 종단의 주요기구로는 중앙종정기관(中央宗正機關)인
총무원과 최고의결기관인 중앙종회(中央宗會)가 있고, 별도로 포교원(布敎院) 등이 있다.
한국 불교 27개 종단의 하나이며, 한국 불교 최대의 종단이다. 신라 때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이며 도의국사(道義國師)
가 개산(開山)한 가지산문(迦智山門)에서 기원하여, 고려시대 보조국사(普照國師)인 지눌(知訥)의 중천(重闡)을 거쳐,
보우국사(普愚國師) 태고(太古)가 구산(九山)을 통합하여 조계종이라 공개적으로 이름붙인 데서 비롯되었다.
창종(創宗)의 정신은 보조국사에 연유하는 선·교 일치(禪敎一致)에 있다.
조선시대에는 배불정책(排佛政策)의 결과로 명맥만 유지하면서 선·교 양종(禪敎兩宗)의 8도도총섭(八道都總攝)제도가
임진왜란 때까지 계승되어오다가, 그후 한말까지는 남북총섭시대(南北總攝時代)로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이
양립하였는데, 선종은 조계종·천태종(天台宗)·총남종(摠南宗), 교종은 화엄종(華嚴宗)·자은종(慈恩宗)·중신종(中神宗)·
시흥종(始興宗)이었다.
1911년 일제의 불교 통합정책에 의하여 사찰령(寺刹令)이 제정되고 31본산(本山:本寺)제도가 생기면서 선·교 양종의 명칭이
사용되었고, 1913년에는 31본산 연합사무소 위원장제도가 실시되다가, 1923년에 재단법인 조선불교중앙교무원 이사(理事)
제도가 되었고, 1924년에는 선·교 양종을 통합하여 조선불교조계종이 설립되었다.
당시 총본산은 태고사(太古寺:지금의 조계사)에 있었는데, 산하 31개 본산의 주지는 조선총독이 승인하였으며, 말사(末寺)인
1,384사의 주지는 도지사의 승인사항이었다. 광복 후 대한불교조계종으로 새로운 출발을 하였으나 1954년부터 1962년까지는
비구(比丘)·대처(帶妻) 승려 간의 분규가 끊이지 않아 이른바 불교정화운동이 계속되었고, 그 결과 1962년 4월 비구·비구니만
을 인정하는 통합종단으로서 대한불교조계종이 재발족, 오늘에 이르고 있다.
종헌(宗憲)에 의하면 이 종단의 종지(宗旨)는 석가모니의 ‘자각각타 각행원만(自覺覺他覺行圓滿)’의 근본교리를 받들어
수행,실천하여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의 법을 전함으로써 중생을 제도(濟度)함에 있다. 종단의 주요기구
중앙종정기관(中央宗正機關)인 총무원과 최고의결기관인 중앙종회(中央宗會)가 있고, 별도로 포교원(布敎院) 등이 있으며
지방에 25교구본사(敎區本寺)가 있으며, 이들은 그 밑에 말사를 거느린다.
제1교구 조계사(曹溪寺)
제2교구 용주사(龍珠寺) 경기도 화성시
제3교구 신흥사(神興寺) 강원도 양양군
제4교구 월정사(月精寺) 강원도 평창군
제5교구 법주사(法住寺) 충북 보은군
제6교구 마곡사(麻谷寺) 충남 공주시
제7교구 수덕사(修德寺) 충남 예산군
제8교구 직지사(直指寺) 경북 김천시
제9교구 동화사(桐華寺) 대구광역시
제10교구 은해사(銀海寺) 경북 영천시
제11교구 불국사(佛國寺) 경북 경주시
제12교구 해인사(海印寺) 경남 합천군
제13교구 쌍계사(雙磎寺) 경남 하동군
제14교구 범어사(梵魚寺) 부산광역시
제15교구 통도사(通度寺) 경남 양산시
제16교구 고운사(孤雲寺) 경북 의성군
제17교구 금산사(金山寺) 전북 김제시
제18교구 백양사(白羊寺) 전남 장성군
제19교구 화엄사(華嚴寺) 전북 구례군
제20교구 선운사(禪雲寺) 전북 고창군
제21교구 송광사(松廣寺) 전남 순천시
제22교구 대흥사(大興寺) 전남 해남군
제23교구 관음사(觀音寺) 제주 제주시
제24교구 선운사(禪雲寺)
제25교구 봉선사(奉先寺) 경기도 남양주시
'사찰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 오어사[吾魚寺] (0) | 2010.03.01 |
---|---|
경주 기림사[祇林寺] (0) | 2010.03.01 |
사명대사 호국성지 밀양 표충사(表忠寺) (0) | 2010.02.07 |
공주 마곡사[麻谷寺] (0) | 2010.02.05 |
의성 대곡사[大谷寺] (0) | 2010.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