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산행기

산의 형세가 용이 누워 있는 모습으로 보인다는 대구 와룡산 한바퀴

산으로 ~~~ 2025. 1. 18. 06:40
반응형

1. 산 행 지 : 용미봉~와룡산~용두봉 / 대구광역시

2. 산행일자 : 2020년 01월 17일(금) / 맑음, 미세먼지

3. 산 행 자 : 홀로

4. 산행경로 : 대구환경자원사엽소-망향정-용미봉-할아버지봉-손자봉-상리봉-와룡산 전망대(헬기장)-와룡산-불미골 갈림길-도림초등 갈림길-용두봉-대구환경자원사업소(도상거리 약 6.5km)

5. 산행시간 : 2시간 10분(12:30~14:40)

6. 산행안내도

7. 산 행 기

와룡산으로 유명한 곳은 단연 사천 와룡산이다. 안동 와룡산도 있지만 오늘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우리동네 와룡산이다. 일출산행(2020.01.01) 이후 5년 만에 용미봉-상리봉~와룡산~용두봉 산행길이다

들머리는 대구광역시 시설관리공단 환경자원사업소 앞
방천리 망향정 우측에 들머리가 있다
대숲과 묘지군을 지나
이곳에서 우측으로 ~~~
고스락에 올라 좌측 영산홍 군락지에 내려가 봅니다
영산홍 군락지와 금호강, 금호대교, 잠산, 함지산이 보이며 ~~~
금호강과 팔달교, 대구3공업지구도 보이는 곳이다
군락지를 나와 용미봉(255m)에 오른다
용미봉 전망대
잠산, 함지산, 금호강, 대구3공업지구
할아버지봉(283m)
미세먼지 가득한 날, 앞산이 희미하게 보인다
손자봉(260m)
뒤돌아본 할아버지봉
한경자원사업소와 용두봉
손자봉(260m)
손자봉에서 바라본 상리봉
우측으로는 상리봉~와룡산~용미봉과 대구환경자원사엽소의 전경이 보인다
상리봉(255m)
대구 서구청 주관으로 신년 일출행사를 치르는 곳이다
대구 서구, 북구지역
서구, 남구, 달서구 방향
서구와 달서구 경계인 소망원 갈림길
각종 체육시설이 마련된 와룡산 전망대
대구시와 달성군의 경계인 헬기장은 달서구청 주관으로 새해 일출행사가 치러지는 곳이다
달서구 동네와 앞산~청룡산~비슬산이 보인다
와룡산(299.6m)

와룡산은 대구광역시 서구와 달서구, 달성군에 걸쳐있는 해발 299,6m의 비교적 낮은 산이지만 서대구권을 대표하는 산이다. 서구와 달서구 쪽이 용의 꼬리와 몸체 일부이고, 머리는 달성군 다사 쪽으로 놓여 있다.

불미골 쉼터 갈림길
쉼터가 마련된 고스락에 올라 서보면
궁산과 세천지구, 금호강과 박산이 보이고
조금더 내려가 보니 마지막 봉우리 용두봉이 보인다
도림초등 갈림길을 지나 한번더 오른다
대구환경자원사업소와 손자봉과
상리봉과 와룡산을 되돌아 본다
하나의 화면에 담아본 용이 누워 있는 와룡산의 모습.
용두봉에서 우측 급비탈을 내려 갑니다
용두봉 정상
급비탈 너덜
전망바위에서는 서재문화체육센터, 해량교와 금호강, 그리고 옛)경부선, KTX 교량과
대구환경자원사업소가 내려다 보인다
지그재그 길과 너덜이 이어지는길 ~~
환경자원사업소 삼거리가 날여리
대구광역시 시설관리공단 환경자원사업소

와룡산은 대구광역시 서구와 달서구, 달성군에 걸쳐있는 해발 299,6m의 비교적 낮은 산이지만 서대구권을 대표하는 산이다. 서구와 달서구 쪽이 용의 꼬리와 몸체 일부이고, 머리는 달성군 다사 쪽으로 놓여 있다. 와룡산에 얽힌 이야기는 여러 가지가 전해지고 있는데 아주 오랜 옛날에 산 아래에 옥연(玉淵)이 있어 용(龍)이 노닐다가 그 못에서 나와 막 승천하려고 하는데 지나던 아녀자가 이를 보고 놀라서 ‘산이 움직인다’ 하고 소리치자, 이 소리를 들은 용이 승천하지 못하고 떨어져서 산이 되었다고 하여 와룡산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728x90
반응형